스텐트 시술 '돼지 아빠' 전남대병원 정명호 교수 퇴임

2024.02.27 21:30:08

심근경색 매년 4천건 시술…37년간 1만2천여명 진료
거액 연봉 거부, 연구·진료 가능한 보훈병원에 새둥지

  "퇴임하면 연봉의 10배를 준다며 오라는 병원이 많았지만,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 보훈병원을 선택했어요."

 심근경색증과 관상동맥 분야 권위자인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정명호 교수는 퇴임을 이틀 앞둔 27일 진료와 연구를 이어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 교수는 막힌 혈관에 스텐트를 넣어 확장하고, 약물 치료를 통해 다시 혈관이 좁아지지 않게 하는 심근경색증 시술(관상동맥중재술)로 정평이 나 있다.

정 교수는 시술에 필요한 스텐트 개발을 위해 국내 최초로 동물 실험을 시작한 선구자이기도 하다.

 그는 1996년 미국 연수에서 돌아와 인간의 심장과 가장 비슷한 돼지를 이용해 지금까지 3천718마리로 실험을 해 '돼지 아빠'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정 교수는 "스텐트를 국산화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개발 이후에는 혈전이 안 생기고 심근경색이 재발하지 않는 스텐트를 개발하는 데 성공해 미국 특허까지 등록했다"고 설명했다.

전남대병원 정명호 교수

 그가 받은 스텐트 관련 특허는 모두 84개로, 이 가운데 실용화한 제품은 '타이거 스텐트'와 '타이거 레볼루션 스텐트' 두 가지다.

 타이거 스텐트는 스텐트 국산화 노력의 산물로 지금까지 126례를 시술했으며, 타이거 레볼루션 스텐트는 혈전이 안 생기는 등 부작용을 줄인 신개념 스텐트로 20명에 대한 임상 사용 실험이 끝난 상태다.

 추후 절차를 밟아 식약처 사용 승인을 얻어내면 환자 치료에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그의 노력과 실력은 연구 성과로 고스란히 나타났다.

 순환기내과 관련해 1천920편의 논문과 96권의 저서를 발표해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 업적을 남겼다.

 특히 급성심근경색증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논문(425편)을 발표한 연구자로 이름을 올렸다.

 2006년에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 됐는데 지역 의과대학 교수가 과학기술한림원 회원이 된 건 그가 처음이다.

 정 교수는 오는 29일 37년간 재직하던 전남대병원을 퇴임하지만, 곧바로 광주보훈병원 순환기내과에서 진료를 시작한다.

 그는 "한국인 심근경색증 등록연구와 스텐트 개발 등을 평생 지속하고 싶다"며 "꾸준한 연구와 진료 활동, 특허 개발로 우리나라가 첫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정진하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