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장 잘 다듬은 말은…'혈당 스파이크'→'혈당 급상승'

  • 등록 2025.02.10 19:55:51
크게보기

'옴부즈퍼슨'은 '아동 권리 대변인'으로…'블랙 아이스' 대신 '도로 살얼음' 널리 쓰여
문체부, 지난해 우리말로 대체한 외국용어 76개 '국민 수용도 조사'

 급격한 혈당 상승을 뜻하는 '혈당 스파이크'를 우리말로 바꾼 '혈당 급상승'이 지난해 정부가 다듬은 우리말 중 가장 좋은 용어로 꼽혔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지난해 쉬운 우리말로 다듬은 외국 용어 76개에 대한 '국민 수용도 조사'에서 '혈당 급상승'이 가장 좋은 대체어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3∼12월 국민 2천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은 지난 2004년부터 의미가 모호하거나 부적절한 외국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대체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76개 단어를 포함해 지금까지 총 958개의 외국 용어를 우리말로 다듬었다.

 이 외에 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0.25% 포인트(p)보다 더 큰 폭으로 하향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빅 컷'의 대체어 '금리 대폭 인하'(90.3%), 업무 숙련도를 높이는 것을 뜻하는 '업스킬링'을 다듬은 '역량 강화'(89.4%)도 잘 다듬은 말로 선정됐다.

 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0.25%p 인하하는 것을 뜻하는 '스몰 컷'의 대체어인 '금리 소폭 인하'(89.1%)와 기업이나 조직 등의 가치를 높이려는 노력을 의미하는 '밸류업'을 '가치 향상'(89.0%)으로 다듬은 것도 좋은 대체어라는 평가를 받았다.

2024년 우리말로 바꾸어 사용해야 할 외국어, 1∼10위 단어

 반려견에 목줄을 착용하지 않은 것을 뜻하는 '오프 리시'(76.6%)와 직무 전환을 위해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을 의미하는 '리스킬링'(72.2%), 물류의 전 과정을 대행하는 일을 뜻하는 '풀필먼트'(71.6%)도 각각 '목줄 미착용'과 '직무 전환 교육', '물류 종합 대행'으로 바꿔 쓰도록 했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와 별개로 국립국어원이 기존에 다듬었던 우리말이 실생활에서 얼마나 쓰이는지도 분석했다.

 2019년 도로 표면에 생긴 얇은 얼음막을 뜻하는 '블랙 아이스'를 다듬은 우리말 '도로 살얼음'의 신문 기사 사용 빈도를 살폈다.

 조사 결과 2021년까지는 '블랙 아이스'가 더 많이 사용되다가 2022년부터 '도로 살얼음'이 더 많이 쓰이기 시작했다고 문체부는 설명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새롭게 유입되는 외국 용어를 신속하게 다듬어 외국 용어가 널리 사용되기 전에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노력을 지속하겠다"며 "다듬은 말의 사용 추이를 지속 관찰하고 분석해 국민의 지지를 받는 다듬은 말을 꾸준히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