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하는 조한중 미국 에모리대 교수 [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414/art_17436875182251_b4cdf7.jpg)
조한중 미국 에모리대 교수는 "고지혈증이나 고혈압 치료가 잘 되고 있지만 동맥경화로 발생하는 심장마비 등은 여전히 일어나고 있다"며 근본 원인인 혈류의 와류(소용돌이치는 흐름)에 영향받는 혈관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지난 3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열린 한국생물공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인터뷰를 갖고 "고지혈증이든 고혈압을 앓고 있든 혈관에서 동맥경화가 생기는 부분은 와류가 있는 곳으로 같다"며 와류에 영향받는 내피세포나 단백질을 치료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세포 등 생체가 물리적 힘에 영향받는 것을 연구하는 기계생물학 분야 석학으로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두 대학인 에모리 의대와 조지아공대가 공동 설립한 의생명공학과 부학과장으로 재직 중이다.
그는 세포는 혈액 흐름과 같은 기계적 자극에 반응하면서 유전자 발현 변화 등이 일어나는데, 이 유전자를 목표로 하면 근본적 치료가 가능한 신약을 발굴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런 기계생물학적 접근은 다양한 질환에서도 이뤄지고 있으며 암의 경우도 암세포 주변 세포를 지탱하는 세포외골격(ECM)의 경도에 따라 전이나 증식 등에 큰 영향을 받는 게 확인됐다고 그는 덧붙였다.
조 교수는 기계생물학이 아직 치료제를 찾는 '기계의학'으로 가지 못해 덜 주목받는 측면이 있지만 동맥경화의 경우 쥐 실험을 통해 치료 가능성 등을 확인한 상황인 만큼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계생물학과 같은 융합 분야 연구가 의대와 공대가 협력하는 학과의 강점이라고 설명하며 "연구실에도 심장내과 레지던트 2명이 있고, 유체역학 및 인공지능(AI) 연구자들과 협업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그는 최근 미국 내 국립보건원(NIH), 국립과학재단(NSF) 등 과학계 예산 삭감의 여파도 피부로 느끼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조 교수는 "에모리대가 지원받는 게 10억 달러(약 1조4천648억원)가 넘는데, 1억5천만 달러(약 2천197억원)가 삭감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아직 깎이진 않았지만, 불확실성 때문에 학교에서도 예산을 30% 우선 삭감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