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생화학 테러 반드시 막는다 [연합]</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416/art_17446294833153_0357a6.jpg)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탄저 백신의 국내 자급이 가능해져 비용이 절감되고 생물테러에 능동적 대응이 가능해져 보건 안보가 강화될 것"이라고 개발 의미를 밝혔다.
정부는 올해 내로 신규 탄저 백신 생산에 착수해 물량을 비축할 예정이다.
우선 접종 대상은 질병청 실험실과 소방·경찰 대테러 담당 인력 등이 될 전망이다.
한편 질병청은 이번 주 내로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 개발 지원사업 비임상 과제 수행에 참여할 기관을 선정해 발표한다.
정부는 코로나19와 같은 미래 팬데믹 발생 시 200일 이내 백신을 만들 수 있도록 mRNA 백신 플랫폼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해당 사업은 2028년까지 임상을 거쳐 백신 품목허가를 받는 것을 목표로 하며, 시급성이 인정돼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고 5천여억원의 사업비를 받아 시행 단계에 있다.
질병청은 이에 참여할 기관 4곳을 선정해 4월 말까지 협약을 체결하고 본격 연구개발을 시작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