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업무 증가 [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418/art_17458199167028_b6d71f.jpg)
보건의료 노동자들은 보건의료 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의 주요 원인으로 인력 부족과 피로 누적 등을 꼽았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지난 1월 조합원 4만4천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보건의료 노동자 실태조사 중 노동안전 실태 관련 결과를 최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보건의료 노동자의 15.6%는 최근 2년 이내 업무상 사고나 재해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유형으로는 근·골격계 질환과 수면장애, 넘어짐·부딪침 등이 많았다.
감정노동과 관련해선 응답자의 55.1%가 최근 1년 이내 폭언을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폭행과 성폭력을 경험한 노동자도 각각 11.5%, 7.2%였다. 이러한 피해를 겪었을 때 다수(60∼70%)의 노동자들은 그냥 '참고 넘겼다'고 했다.
'번아웃'(소진)을 호소하는 보건의료 노동자도 많았다.
응답자의 68.0%가 육체적으로, 60.9%가 정신적으로 지쳐 있는 상태라고 답했다.
'왜 일하냐고 스스로에게 물으면 월급을 받기 위해서라는 답이 나온다'는 데에 79.0%가 동의했다.
직군별로 보면 간호직에서 육체적(75.9%), 정신적(67.8%) 소진을 호소하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보건의료노조는 "인력 부족, 수면장애 및 피로 누적이 산재 주요 원인으로 꼽힌 것은 노동집약적이고 야간교대근무가 주요 업무 형태인 보건의료산업 현실을 고스란히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 직종별 적정인력 기준 제도화를 통한 보건의료인력 확충 ▲ 보건의료산업부터 주4일제 도입 ▲ 의사인력 확충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