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모기 분류 작업 [연합]</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418/art_1745984430125_1ad256.jpg)
이달 들어 국내 말라리아 환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주의가 요구된다.
30일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에 따르면 올해 1∼4월 발생한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모두 55명이다.
1년 동안 환자 수가 713명이었던 지난해 1∼4월 34명보다 많고 최근 10년간 가장 많은 747명의 환자가 발생했던 2023년 1∼4월 52명과도 비슷한 수준이다.
아직 단언하기는 이르지만 현재의 추세라면 올해 말라리아 환자 수는 3년 연속 700명대를 기록할 우려가 있다.
국내 말라리아는 통상 5월부터 감염병을 매개하는 중국얼룩날개모기의 개체수가 급증하며 6∼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
국내 말라리아 환자 수는 2001년에 2천556명이 발생해 가장 많았으며 이후 1천∼2천명을 유지하다 2011년 826명으로 떨어진 뒤 500~600명 수준으로 확연히 감소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발생한 2020년과 2021년에는 385명, 294명까지 줄어든 바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며 야외활동이 증가하기 시작한 2022년부터 환자가 다시 증가해 2022년 420명에서 2023년 747명으로 늘었으며, 지난해 역시 700명을 넘겨 713명을 기록했다.
경기도는 2008∼2011년 남북 공동방역을 하면서 급격히 줄었던 말라리아 환자 수가 2012년 이후 남북 관계 경색에 따른 말라리아 방역물품 지원사업 중단과 기상 이변 등이 겹치면서 다시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파주, 고양, 김포 등 경기 서북부를 중심으로 수도권에서 85%가량 발생한다.
파주의 경우 지난해 150명의 환자가 발생해 전국 환자의 20%를 차지했다.
이에 경기도는 말라리아 환자 발생을 줄이기 위해 올해 말라리아 관련 예산을 말라리아 다발 지 역인 파주, 고양, 김포 등 3개 시에 집중적으로 배정했다.
또 이달부터 10월까지 말라리아 감염병 예방을 위한 매개 모기 감시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 발생하는 말라리아는 삼일열 원충에 감염된 얼룩날개모기류 암컷에 의해 전파되는 삼일열 말라리아다.
열대지방의 열대열 말라리아와는 달리 치사율은 낮은 편이나 오한, 발열, 두통, 심한 피로 등 증상을 유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