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로 고통받는 20∼30대 젊은층 37만명…10년새 2배 급증

  • 등록 2025.05.01 06:41:27
크게보기

'19∼39세 유병률' 2010년 1.02%→2020년 2.02%…30대는 3.9%가 발병
"비만·합병증도 동반 증가…맞춤형 관리프로그램·제도적 지원 확대 필요"

 국내 20∼30대 젊은 성인들 사이에서 2형 당뇨병(T2DM)이 확산하고 있다.

 지난 10년 사이 유병률이 두 배 가까이 치솟았으며, 특히 비만과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경고가 나온다.

 특히 30대(30∼39세) 유병률은 2010년 2.09%에서 2020년 3.9%로 증가하며 젊은 당뇨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

 남성 유병률이 여성보다 일관되게 높았고, 증가 속도 역시 남성이 더 가팔랐다.

 주목할 점은 젊은 2형 당뇨병 환자 상당수가 비만을 동반한다는 사실이다.

 2020년 기준으로 이들 젊은 당뇨 환자의 67.8%가 체질량지수(BMI) 25kg/㎡ 이상의 비만이었고, 31.6%는 고도비만(BMI 30kg/㎡ 이상)에 해당했다. 허리둘레 역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복부 비만의 심각성도 확인됐다.

 이런 비만은 고혈압(34.2%), 이상지질혈증(79.8%), 지방간(78.9%) 등 다양한 대사성 질환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단순히 당뇨병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환 등의 합병증 유병률도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심부전은 2020년 기준 젊은 당뇨 환자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혈관 합병증으로 확인됐으며, 만성신부전증(말기 신장 질환),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등도 발생하고 있었다.

 젊은 당뇨 환자에게서 비만 관련 약제 처방이 늘고 있지만, 전반적인 약물 치료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단독 치료보다는 두세 가지 약제를 함께 사용하는 병용 요법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젊은 성인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인지하고 건강한 식습관과 꾸준한 운동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등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된 젊은 당뇨의 확산은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의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시급함을 보여준다는 게 전문가들 견해다.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당뇨병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 비만 관리를 위한 제도적 지원 확대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