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쏘임 70%는 여름철 발생…5년간 13명 사망

  • 등록 2025.08.01 07:48:45
크게보기

37%는 일상생활 중 발생…카드 등으로 벌침 밀어내야
뱀물림은 고령층 밭일 중에 많아…물리면 60%가 입원

  야외 활동이 많은 여름과 초가을에는 벌쏘임·뱀물림 사고도 늘어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은 1일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23개 참여 병원의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 벌쏘임 사고(3천664건)의 70.5%, 뱀물림 사고(726건)의 57.0%가 7∼9월에 발생했다고 밝혔다.

 벌쏘임 사고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 중 88명이 입원했고, 13명은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벌쏘임은 일상생활(37.2%), 여가 활동(24.3%) 중에 주로 발생했고, 이어 업무 중(20.0%) 순이었다.   벌초·제초 등 업무 중이 아닐 때도 사고가 빈번했던 셈이다.

 특히 30대 이하는 휴식, 누워 있기 등과 같은 일상생활과 등산과 같은 여가 활동 중 벌에 쏘인 비율이 높았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벌쏘임 사고는 특히 정오부터 오후 6시 사이, 주말에 많이 발생했다.

 성별로는 남자(64.4%)가 여자보다 많았고 연령은 60대(25.8%), 50대(22.1%)가 많았다.

 발생 장소는 야외·강·바다(37.5%), 도로(18.8%), 집(16.1%), 농장·1차 산업장(9.6%) 등이었다.

 벌에 쏘인 부위는 손(25.5%), 팔(17.6%), 얼굴(13.5%), 다리(12.2%) 순으로 나타났다.

 뱀물림 사고는 주말(40.8%)에 많이 발생했고, 연령별로는 60대(28.9%)와 70대 이상(24.0%), 50대(19.6%)가 전체 환자의 72.5%를 차지했다.

 제초·농작물 수확 등 업무 중에 사고가 난 경우가 27.3%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일상생활(24.2%), 창고 정리·분리수거 등 무보수 업무(22.9%) 순이었다.

 물린 부위는 손(60.6%), 발(20.9%), 다리(9.3%) 등이었다.

 뱀물림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 726명 중 433명이 입원했고, 5명은 숨졌다.

 질병청은 "뱀물림 사고는 50대 이상 고령층이 밭일하는 중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면서 "뱀물림 사고는 입원 비율이 59.6%로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벌에 쏘였을 때는 신용카드 등으로 벌침을 밀어내 제거하고, 통증이 지속되거나 과민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해야 한다.

 뱀을 발견했을 때는 즉시 대비 후 119에 신고해야 한다. 만약 뱀에게 물렸다면 물린 부위가 심장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고 움직임을 자제해야 한다.

 질병청은 상처에 약초를 으깨어 바르거나 칼로 상처를 내어 짜내거나 입으로 독을 빨아내는 행동, 술이나 카페인을 마시는 행동은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뱀물림 안전수칙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