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 부작용 줄인다" 폐암세포만 공격하는 '나노바디' 개발

  • 등록 2025.08.17 13:30:20
크게보기

생명연 "정밀의료 플랫폼 기술…다른 암에도 적용 가능"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최근 정주연 박사 연구팀이 폐암 세포만 인식해 공격하는 초소형 항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폐암은 국내 암 사망 원인 1위로, 그중 전체 폐암 환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비소세포 폐암인 폐선암은 조기 진단이 어렵고 치료 후 재발률도 높다.

 연구팀은 폐선암 세포에서 많이 발견되는 단백질인 'CD155'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초소형 항체 'A5 나노바디'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항암제 '독소루비신'을 담은 약물 캡슐에 나노바디를 결합, 암세포 표면의 CD155 단백질에 항암제가 도달하도록 했다.

 실험 결과 암세포 내부로 전달되는 약물의 양이 최대 3배 이상 증가했고, 폐선암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달라붙어 암세포의 이동과 침투를 50% 이상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실험에서 나노바디의 항암 효능

 동물실험과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유사 장기) 모델을 활용한 실험에서 종양 크기는 70∼90%까지 줄었고, 세포 사멸 지표도 크게 증가했다. 또 간, 심장, 신장 등 주요 장기에도 손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항암제가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면서 나타나는 탈모, 구토, 면역력 저하 등 부작용은 줄이고, 암세포 사멸 효과는 극대화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정주연 박사는 "암세포를 정밀하게 표적화하고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며 "폐암뿐만 아니라 다양한 암에 활용할 수 있는 정밀의료 플랫폼 기술"이라고 말했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