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쯔쯔가무시증 옮기는 털진드기 유행 대비해 전국 감시

  • 등록 2025.08.27 13:46:08
크게보기

쯔쯔가무시증 환자 10∼11월 집중…질병청, 12월 17일까지 감시

 질병관리청은 10∼11월 쯔쯔가무시증(Scrub Typhus) 유행에 대비해 27일부터 12월 17일까지 이 병을 옮기는 털진드기의 발생 밀도를 감시한다고 밝혔다.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Orientia tsutsugamushi)을 보유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려 감염되는 질환이다. 연간 6천명 안팎의 환자가 보고되는데, 특히 10∼11월 가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현재 국내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는 총 8종이 있다.

 지난해 감시 결과, 남부 지역에서는 활순털진드기, 중부·북부 지역에서는 대잎털진드기가 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유충 발생 시기도 털진드기 종류에 따라 다르다.

2024년 쯔쯔가무시증 매개 털진드기 발생 감시 결과

 대잎털진드기와 활순털진드기는 9월 하순부터 유충이 발생하기 시작해 10월 하순∼11월 초에 가장 많이 나온다. 수염털진드기 유충은 10월 하순부터 늦으면 11월 중·하순까지 나오기도 한다.

 털진드기는 여름철에 알을 낳고, 알에서 깨어난 유충이 초가을(9월 말∼10월 초)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늦가을(10월 중순)에 급격히 늘어난다.

 털진드기 유충은 동물이나 사람에 기생해 체액을 섭취하면서 성장하기 때문에 시기에 환자 발생도 집중된다.

 이 균에 감염되면 열흘 안에 두통, 발열, 발진,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털진드기에 물린 자리에는 가피(검은 딱지)가 생기는 게 특징이다. 감염 초기에 적절히 항생제를 맞으면 비교적 쉽게 회복할 수 있어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료기관을 찾아가야 한다.

 진드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풀밭에 오래 머무르지 않아야 한다.

 야외 활동을 할 때면 긴 옷, 목이 긴 양말, 장갑, 모자 등 착용하고, 진드기 기피제를 뿌리는 것도 좋다.

 야외 활동이 끝난 후에는 반드시 씻고 진드기를 확인해야 한다.

2025년 쯔쯔가무시증 매개 털진드기 발생 감시 지점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