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서울 마포대교에 설치된 자살 방지 동상 '한 번만 더' </strong>[연합 자료사진]](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937/art_17577373109441_41f36c.jpg?iqs=0.2908465328769757)
프랑스의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은 저서 '자살론'에서 개인을 자살로 이끄는 사회적 요인에 주목했다. 자살은 개인적 요인이 아닌 사회·구조적 요인으로 인한 결과라고 본 것이다.
자살은 단순히 개인의 정신건강 문제가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빈곤이나 고립, 경쟁 등 사회적 문제로 촉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달 "자살은 사회적 재난이라는 관점에서 정책 패러다임을 전면 전환해야 한다"고 했다.
새 정부가 지난 12일 첫 자살 예방대책을 내놓았다.
총리 주재 회의에서 자살률(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을 작년 28.3명에서 2029년 19.4명, 2034년 17.0명 이하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자살률 17.0명이라는 목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우리나라 다음으로 자살률이 높은 리투아니아(17.1명)를 고려해 설정한 것이라고 한다.
10년 내로 'OECD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벗겠다는 각오다.
이를 위해 자살 고위험군을 집중 관리하고 채무, 생활고, 실업 등 다양한 위기 요인에 범부처 차원에서 총력 대응하겠다고 했다.
자살 예방은 행정당국의 힘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바로 우리 주변에 있기 때문에 개인 차원 관심과 노력도 중요하다.
무엇보다 주변 사람이 자살 의도를 보이거나 징후가 있을 때는 단도직입적으로 묻는 것이 좋다고 한다.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에 따르면 '설마'라고 생각하지 말고 "혹시 자살을 생각하고 있니?"라고 구체적으로 묻는 것이 자살 예방의 중요한 첫걸음이다.
자살을 언급했다가 도리어 화를 내거나 자살을 유도하게 되는 상황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한다.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자살에 대해 질문해준 것을 고맙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상대가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다고 인정하면 우선 가족 등 그와 가까운 사람들에게 알려야 한다.
이들의 격려가 가장 든든한 방패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절대 혼자 있게 해서는 안 된다. 자살은 주변에 누군가가 있다면 시도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게 해 효과적인 상담이나 약물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살은 분명 개인의 책임이 아니라 사회 공동체의 책임이 더 크다. 자살률은 그 사회의 결속력이 낮을수록 높아진다고 한다.
개인의 아픈 곳을 찾아내 치유하는 노력과 동시에 그들을 아프게 하는 사회적 요인을 찾아내 대응하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아울러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이 땅에서 태어난 생명을 소중히 여기고 지키는 문화를 공유하면 사회와 이웃의 무관심 속에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일도 자연스럽게 줄어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