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이 24일(현지시간) 미국에서 표적단백질분해(TPD·Targeted Protein Degradation) 후보 약물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TPD는 단백질 기능을 억제하는 억제제와 달리 세포 내에서 질병을 유발하는 특정 단백질을 분해해 제거하는 생명공학 기술로, 약효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신약 모달리티(modality·약물이 작용하는 방식이나 치료 접근법)로 주목받고 있다.
한미약품 이용택 선임연구원은이날 미국암학회(AACR)·국립암연구소(NCI)·유럽암연구치료기구(EORTC) 공동 학회가 열리는 미국 보스턴 하인스 컨벤션센터에서 포스터 발표를 통해 TPD 후보 물질인 'EP300 분해제'를 소개했다.
EP300 단백질은 유전자 전사를 활성화해 세포 증식에 기여하지만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소세포폐암(SCLC), 혈액암 등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 폐암 환자의 약 13%를 차지하는 소세포 폐암은 진단을 받으면 5년 생존율이 7%에 불과해 매우 위험한 암으로 꼽힌다.
한미약품은 자사 EP300 분해제가 합성치사(synthetic lethality) 방식을 통해 표적단백질뿐만 아니라 정상 세포의 단백질도 함께 분해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EP300과 CBP(초유단백분획물)가 상호보완적으로 작용을 하는데 구조적으로 굉장히 유사한 면이 있어서 선택적으로 타깃을 할 수가 없었다"며 "이번에 개발한 분해제는 EP300과 CBP 중 EP300만 선택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EP300만 선택적으로 표적해 분해하면 CBP가 기능을 못해 암세포는 죽지만 정상세포는 살아 있는 CBP가 EP300 대신 보상적으로 기전을 수행해 살아남을 수 있는 개념이다.
이 연구원은 내년 1분기께 GLP 톡스 시험(비임상 독성 시험)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미약품은 이날 개선된 범 TEAD 단백질 저해제 후보물질도 공개하고 내년 1분기 GLP 톡스 시험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김지숙 표적항암팀 파트장은 "범 TEAD 저해제는 4가지 TEAD 단백질을 모두 차단할 수 있다"며 "2023년 첫 포스트 발표 후 신장 독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속된 비교 평가를 거쳐 많이 개선했다"고 말했다.
김 파트장은 내년 1분기 독성 시험에 착수하고 내년 후반이나 내후년 초 미국 임상 1상 진행을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