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암 늘자 '가임력 보존' 관심…"출산 계획 환자부터 지원"

  • 등록 2025.11.05 13:32:14
크게보기

의사·환자 모두 "가임력 보존 시술 정부 지원 필요하다" 공감
20∼39세 암 환자 2만명 육박…가임력 보존 시술 문제는 '비용'

 젊은 암 환자가 많아지면서 '가임력 보존'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환자와 의사 대부분이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계획이 있는 암 치료 대상자부터 지원해야 한다는 데에도 환자와 의사 사이에 이견이 없었다.

 대한가임력보존학회가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수행한 '가임력 보존 및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11~12월 가임기 여성 환자와 이들을 진료하는 의사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러한 사실이 확인됐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암 발병 연령이 낮아진 데 따라 젊은 암 환자의 완치 이후의 삶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 암을 새롭게 진단받은 20∼39세 환자는 1만9천575명에 달한다.

 특히 가임력 보존은 저출생 시대 젊은 유방암 환자 등이 증가한 데 따라 관심이 커지는 분야로 꼽힌다.

 우선 응답자의 83.0%는 암과 같은 특정 질환의 치료 과정이 가임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걸 알고 있었으나, 나머지인 17.0%는 이러한 내용을 전혀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질병 치료가 불임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면 가임력 보존을 고려하겠느냐는 질문에는 84.3%가 동의했다.

 응답자의 98.0%는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해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임력 보존 시술이 공공 재정으로 지원돼야 한다는 응답자도 88.9%에 달했다.

 한정된 재원으로 가임력 보존 시술을 지원할 때의 우선순위는 '출산 계획이 있는 암 치료 대상자'(28.3%)가 1순위였다.

 이어 '가임력 감소 가능성이 있는 수술이나 전신 질환'(22.3%), '난소 수술 예정자'(15.5%) 순이었다.

 현재 시행되는 가임력 보존 시술의 가장 큰 문제로는 '비용'(34%)이 지목됐다. '정보 부재와 불충분'(26.8%), '정보 획득의 어려움'(15.7%) 등도 문제로 꼽혔다.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 우선순위 지원 대상자 등은 의사들의 답변도 환자와 대동소이했다.

 학회의 설문에 참여한 의사 37명 중 83.8%가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지원 1순위는 '출산 계획이 있는 암 치료 예정자'(30.7%)였다. 이어 '미혼 난소기능 저하자'(21.6%), '난소 수술 예정자'(17.0%) 순이었다.

 가임력 보존 정보 제공과 시술에 있어 걸림돌은 '비급여 시술로 인한 비용 부담'(22.2%), '불충분한 진료 시간'(18.2%), '홍보 부재'(13.2%)가 꼽혔다.

 학회는 "가임력 보존 치료에 있어 정부 지원에 대한 응답자들의 요구도가 높았다"며 "다만 한정적인 재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원 조건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