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보다 고교생이 학교생활만족도 낮아…학업·교우관계 영향

  • 등록 2025.11.08 07:41:38
크게보기

"동아리·체육활동 다양화하고 강사·예산 지원하는 정책 필요"

 초등학생보다 고교생이,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학교생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스트레스를 줄이고 교사·친구와의 긍정적 관계 형성을 도울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령별 만족도는 2018년 조사 당시에도 9~11세가 7.54점, 12~17세가 7.21점으로 나이가 들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는 0.33점에서 더 늘었다.

 학교급별로도 비슷한 양상이었는데 2023년 기준 만족도는 초등학생이 7.64점으로 가장 높은 반면 중학생은 7.20점, 고등학생은 7.02점으로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떨어졌다.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가운데 학업 스트레스는 초등학생이 1.70점으로 가장 낮았던 반면, 중학생은 2.07점, 고등학생은 2.14점으로 점차 높아졌다.

 이에 비해 선생님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는 초등학교에서 각 4.00점, 4.03점으로 제일 좋았고, 고등학교에서 각 3.82점, 3.96점으로 제일 좋지 않았다.

 다만, 학교폭력 피해 수준은 중학교에서 7.83점으로 가장 높았고, 초등학교에서 7.70점, 고등학교에서 7.71점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학업 스트레스와 학교폭력 피해 정도는 학교생활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인 반면, 친구·선생님과의 관계, 교내 동아리 참여 경험 등이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봤다.

 특히 친구·선생님과의 관계는 효과 크기를 고려할 때 다른 변인들보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해석했다.

 그런가 하면 성별로 나눠 살펴봤을 때 남아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7.40점, 여아의 만족도는 7.25점으로 여아의 만족도가 더 낮았다.

 2018년 조사 당시 남아의 만족도(7.28점)가 여아(7.37점)보다 낮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소득별로는 ▲ 중위소득 150% 이상 7.63점 ▲ 중위소득 100~150% 미만 7.35점 ▲ 중위소득 50~100% 미만 7.19점 ▲ 중위소득 50% 미만 6.84점으로 가구의 소득이 낮을수록 아동이 학교생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생보다 고교생이 학교생활만족도 낮아…학업·교우관계 영향 - 2

 연구진은 우리나라 아동 전체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중·고등학교 아동의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 당연히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 수밖에 없지만 교우·교사와의 긍정적 관계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은 필요하다"며 "아동의 욕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동아리, 스포츠 등의 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강사와 예산 등을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