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 효과 저해 유전물질 확인

UNIST 연구…"해당 유전물질 억제제 함께 쓰면 치료제 효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현재 임상 실험이 이뤄지고 있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 후보 물질들의 약효가 떨어졌던 원인을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최장현·남덕우 교수 연구팀은 간 속 마이크로RNA(miRNA)의 한 종류인 MIR20B라는 유전물질이 지방 분해를 돕는 단백질의 합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 후보 물질들은 이 단백질을 활성화해 지방 축적을 막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MIR20B가 단백질 합성을 방해해 효과가 떨어진 것이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간에 중성지방이 과하게 쌓여 염증이 생기거나 염증으로 인해 간에 흉터 조직이 생기는(간 섬유화) 광범위한 질환이다.

 아직 효과적인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치료제 개발 임상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고지혈증 치료제로 쓰이는 파이브레이트 계열 약물을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로 쓰려는 시도가 많았으나, 간 섬유화 호전 등 조직학적 효과가 없어 임상 단계를 통과하지 못했다.

 이 파이브레이트 계열 약물은 PPARA 단백질 활성을 높여 지방 분해를 촉진하는 원리로 작용한다.

 연구팀은 동물 실험을 통해 MIR20B가 PPARA 단백질 발현을 방해해 상용 파이브레이트 계열 약물인 페노파이브레이트(Fenofibrate)의 약효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실제 MIR20B 억제제를 페노파이브레이트와 함께 지방간 모델 동물에 처방한 경우 간 섬유화 개선에 효과를 보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최장현 교수는 "단일 약물을 통한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 개발에는 한계가 있어 최근 복합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는 중"이라며 "MIR20B 억제제와 기존 치료제를 같이 처방하는 것은 효과적인 치료 요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30일 생명과학 분야 학술지인 '이라이프'(eLife)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KMPC), UNIST 미래선도프로젝트 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기대수명 증가로 더 많은 질병 노출…소비자·보험사 준비해야"
고령자 사망률이 개선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이 늘어나므로 소비자와 보험사가 이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사망률 개선이 노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사망률 개선은 수명 연장보다는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 증가 측면에서 의미가 더 크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작년 12월 보험개발원이 발표한 10회 경험생명표에서는 남성 평균수명이 86.3세, 여성은 90.7세로 지난 생명표보다 각 2.8세, 2.2세 늘어났다. 경험생명표는 보험사의 통계를 기초로 사망, 암 발생, 수술 등에 대해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해 보험개발원이 산출하는 보험료율의 집합으로, 통상 3∼5년 주기로 개정된다. 연구원에 따르면 고령자의 사망률이 개선되면 연령별 질병 발생률이 동일하더라도 노후에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 여성의 경우 50세 이후 암 발생률이 개선돼 90세 이후에는 개선 폭이 10% 이상으로 확대되지만, 누적 암 발생자 수는 90세 이후에 오히려 증가하는데 이는 사망률 개선 효과 때문이다. 연구원은 "이는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건강수명과 기대수명 차이가 확대되는 현상과 유사하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