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 중 벌을 만난다면?...흰색 계열에 소매 긴 옷이 유리

 날이 따뜻해지며 산과 들에서의 야외 활동이 증가하는 가운데, 각별히 조심해야 할 곤충이 있다.

바로 쏘일 경우 목숨까지 잃을 수 있는 '벌'이다.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 2017~2021년 5년 사이 벌에 쏘였다가 구급차로 이송된 사람은 모두 3만1천823명이나 된다. 작년 한 해만 6만6천82명이 벌에 쏘여 구급이송됐다.

 5년간 이런 구급이송 건수는 경기가 6천230건으로 압도적으로 많다. 이어 경북 4천116건, 경남 3천149건, 전남 3천83건, 강원 2천934건 순이었다.

 벌에 쏘여 숨진 사람도 최근 5년간 49명이나 된다. 작년에는 11명이 사망했다.

 5년간 사망자 중 30명은 산에서, 5명은 논이나 밭에서 벌에 쏘였다. 벌초(14명), 작업(11명), 여가(10명) 등의 활동을 하다가 변을 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방당국은 작년에만 19만5천317개의 벌집을 제거했다.

 말벌은 8월 중순~10월 중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니 이 시기에 벌에 쏘이지 않게 각별히 조심해야 하지만, 야외 활동이 증가하는 4월과 5월 등 봄철에도 충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벌에 쏘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벌을 자극하는 향수, 화장품 등의 사용을 삼가고 어두운색 계열의 옷을 되도록 입지 않아야 한다. 흰색 계열에 소매가 긴 옷을 입어 팔과 다리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지난 2016년 가야산 등 국립공원에서 실시한 실험에서 말벌은 검은색, 갈색,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 순으로 공격 성향을 보였다.

  벌집을 건드리면 말벌은 검은 머리 부분을 지속적으로 공격하지만, 20m가량 이동하면 대부분의 벌들은 벌집으로 복귀했다.

 따라서 벌집을 발견할 경우에는 자세를 낮춰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벌집을 접촉했다면 머리 부위를 감싸고 신속하게 20m 이상 이동해야 한다.

  벌에 쏘이면 속이 메스껍고 울렁거리는 증상이 나타난다. 구토나 설사, 어지러움, 전신 두드러기와 함께 쏘인 부분이 심하게 부어오르면서 호흡곤란이 올 수 있다.

 벌에 쏘였다면 신속히 벌침을 제거하고 쏘인 부위의 감염 방지를 위해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뒤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을 해야 한다.벌독에 의한 사망은 79%가 쏘인 뒤 1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소방청 관계자는 "말벌의 독성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강하기 때문에 최대한 신속히 119 신고를 한 후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 소방청, 국립공원관리공단

 

[클릭! 안전] ⑩ 산행 중 벌을 만난다면? 이것만 기억하세요 - 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작년 봉급 인상 직장인, 다음달 건강보험료 더 내야 한다
작년에 봉급 등이 오르거나 호봉승급, 승진으로 소득이 증가한 직장인은 다음 달에 건강보험료를 더 내야 한다. 22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건강보험법에 근거해 매년 4월이면 연례행사처럼 직장인을 대상으로 건보료 연말정산을 한다. 건보공단은 2000년부터 직장 가입자 건보료는 전년도 보수총액을 기준으로 우선 부과하고, 실제 받은 보수총액에 맞게 보험료를 재산정해서 이듬해 4월분 보험료에 추가 부과 또는 반환하는 정산 절차를 거치고 있다. 정산과정에서 작년 임금인상 등으로 소득이 오른 직장인은 더 내지 않았던 건보료를 추가로 납부해야 하지만, 봉급 인하 등으로 소득이 감소한 직장인은 더 많이 냈던 건보료를 돌려받는다. 건보료 정산은 실제 보수에 따라 작년에 내야 했던 건보료를 다음 연도 4월까지 유예했다가 나중에 내는 것으로, 보험료를 일률적으로 올리는 건보료 인상과는 성격이 다르다. 그렇지만 연말 정산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건보료를 정산하다 보니, 추가로 정산보험료를 내야 하는 직장인에게는 보험료 인상으로 받아들여져 해마다 4월이면 '건보료 폭탄' 논란이 벌어진다. 지난해의 경우 월급 등 보수가 늘어난 1천11만명은 1인당 평균 약 21만원을 추가로 냈다. 반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의·정갈등 장기화, 약업계 '불똥'…"매출·임상 차질 불가피"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 이탈이 장기화하자 제약업계에서는 원내 처방 의약품 매출 하락, 임상 시험 환자 모집 감소 등 관련 여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제약업계에 따르면 전공의 파업으로 환자 진료·수술 건수가 줄어들며 항생제·수액제·주사제 등 원내 의약품 매출에 일부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진행하던 의약품 영업·마케팅 전략을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병원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전문의약품이 매출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 제약사 관계자는 "수술 환자가 줄어들다 보니 수액 등 원내 의약품 매출에 영향이 있는 건 사실"이라며 "당장 큰 타격은 없지만 장기화하면 2분기께 타격이 있을 수 있어 사태가 빨리 끝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종합병원에 있던 환자가 클리닉(병상 30개 미만 의원)이나 일반 병원으로 전환하는 사례가 점점 많아지는 만큼 해당 분야로 영업 전략을 바꿔나가는 것을 검토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암 검사 등 고위험 질환에 대해 전공의들이 맡아온 역할이 크기 때문에, 전공의 파업으로 관련 환자가 감소할 경우 의약품 매출뿐 아니라 임상 시험 등에도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