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과 과수면 등 청소년, 수면시간 살피면 위험신호 보인다"

서울대병원 연구팀 "수면시간 너무 짧거나 길면 자살시도 위험 50~78%↑

 청소년 자살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심각한 공중 보건 문제로 꼽힌다. 자살 자체는 모든 연령층의 문제이지만, 특히 청소년 자살에 주목하는 건 최근 수십 년 동안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살률은 10만 명당 10.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인 6.4명보다 훨씬 높다.

 올해 보건보건복부가 펴낸 자살예방백서에서는 국내 청소년(9∼24세) 자살률이 4년(2017~2020년) 사이에 44%나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10대의 자살·자해 시도만 보면 같은 기간 69% 급증했다고 이 보고서는 지적했다.

 이처럼 청소년 자살률이 높아진 데는 우울과 불안 등의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최근에는 이에 더해 불면증과 과수면을 포함하는 수면 문제가 청소년 자살과 연관된 주요 위험 요인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26일 국제기분장애학회(ISAD)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최근호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안용민 교수 연구팀은 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참여한 중·고교생 5만4천948명을 분석한 논문에서 수면 문제가 자살 위험을 높이는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조사 대상 청소년들의 수면 시간이 하루 5시간 미만인 경우를 '짧은 수면'으로, 하루 9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를 '긴 수면'으로 각각 정의하고 자살 생각과 자살 시도 확률을 비교했다.

 이 결과 짧은 수면이 지속되는 청소년의 자살 생각과 자살 시도 위험은 정상적인 수면 시간을 유지하는 청소년보다 각각 43%, 78% 높은 것으로 추산됐다.

 또한 정상보다 긴 수면 시간도 청소년의 자살 시도 위험을 50% 높이는 요인이었다.

 연구팀은 짧은 수면과 긴 수면 그룹에서 모두 자살 위험이 높아지는 이유로 이들 청소년이 평소 갖고 있던 우울과 불안 증상이 수면 시간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안용민 교수는 "우울과 불안 증상은 자살 시도 및 불면 등과 함께 공존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앞서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우울 증상이 불면증과 자살을 매개하는 것으로 관찰됐지만, 청소년에게서는 불안 증상도 수면 시간과 자살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청소년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수면 시간이 너무 길거나 짧은지와 함께 우울 증상 또는 불안 증상 여부도 살펴봐야 한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안 교수는 "청소년의 13.6%~23.8%가 짧은 수면시간을, 15.9%는 과수면을 경험하고 있다"면서 "이런 청소년들에게는 불안 증상이 우울증의 전구증상으로 나타나 자살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만큼 적당한 수면시간을 갖도록 하면서 동반된 우울, 불안 증상을 함께 치료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으면 자살 예방 핫라인 ☎ 1577-0199, 희망의 전화 ☎ 129, 생명의 전화 ☎ 1588-9191, 청소년 전화 ☎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기대수명 증가로 더 많은 질병 노출…소비자·보험사 준비해야"
고령자 사망률이 개선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이 늘어나므로 소비자와 보험사가 이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사망률 개선이 노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사망률 개선은 수명 연장보다는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 증가 측면에서 의미가 더 크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작년 12월 보험개발원이 발표한 10회 경험생명표에서는 남성 평균수명이 86.3세, 여성은 90.7세로 지난 생명표보다 각 2.8세, 2.2세 늘어났다. 경험생명표는 보험사의 통계를 기초로 사망, 암 발생, 수술 등에 대해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해 보험개발원이 산출하는 보험료율의 집합으로, 통상 3∼5년 주기로 개정된다. 연구원에 따르면 고령자의 사망률이 개선되면 연령별 질병 발생률이 동일하더라도 노후에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 여성의 경우 50세 이후 암 발생률이 개선돼 90세 이후에는 개선 폭이 10% 이상으로 확대되지만, 누적 암 발생자 수는 90세 이후에 오히려 증가하는데 이는 사망률 개선 효과 때문이다. 연구원은 "이는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건강수명과 기대수명 차이가 확대되는 현상과 유사하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고지방식, 당뇨병-알츠하이머 유발 과정 생쥐 실험서 확인"
생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고지방 식단이 염증 조절 단백질 발현을 억제, 장에서 간을 거쳐 뇌로 이어지는 염증반응을 초래하면서 당뇨병과 알츠하이머 유사 증상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칼리지 스테이션 소재 텍사스 A&M대 나렌드라 쿠마르 교수팀은 23~26일 샌안토니오에서 열리는 미국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회 연례 회의(Discover BMB)에서 생쥐 실험에서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며 이는 당뇨병 환자에게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킬 수 있는 분자 수준 메커니즘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제2형 당뇨병과 알츠하이머병 간 연관성을 보여주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과학자들은 알츠하이머병을 '제3형 당뇨병'으로 부르기도 한다. 또 당뇨병과 알츠하이머병은 모두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건강 문제로 꼽힌다. 쿠마르 교수는 "당뇨병과 알츠하이머병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개선하는 조처를 하면 알츠하이머병의 치매 증상 진행을 예방하거나 적어도 상당히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식단은 당뇨병 발병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이 연구에서 식단이 당뇨병 환자의 알츠하이머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생쥐 실험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