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이 질산염, 노인 실명 최대 '원인황반변성' 진행 억제"

 식이 질산염(dietary nitrate)이 노인 실명의 최대 원인인 노인성 황반변성(AMD: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황반변성은 망막의 중심부에 있는 시신경 조직인 황반에 비정상적인 신생 혈관이 자라면서 황반이 손상돼 시야의 중심부를 보는 시력인 중심시(central vision)를 잃는 질환이다. 초기와 후기로 나뉜다.

 미국 국립 보건원(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산하 국립 안 연구소(National Eye Institute)의 제프리 브로드헤드 교수 연구팀이 황반변성 환자 7천78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군 설정 임상시험 방식으로 진행된 전향적 노인성 황반변성 연구(AREDS: Age-Related Eye Disease Study)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식이 질산염 섭취량 상위 25% 그룹은 하위 25% 그룹보다 후기 황반변성으로 진행될 위험이 23%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 질산염 섭취량 상위 25% 그룹은 또 하위 25% 그룹보다 망막세포의 사멸을 가져오는 망막의 지도 모양 위축(GA: geographic atrophy) 위험이 29%, 망막 외층을 구성하는 맥락막의 신생 혈관 형성 위험이 15% 낮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식이 질산염은 근대 뿌리, 시금치, 상추, 십자화과 식물 같은 채소들에 많이 들어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안과학(JAMA Ophthalm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실시간 관찰 전자현미경 기술 개발
퇴행성 질환을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섬유 단백질의 초기 불안정한 움직임과 같은 생명 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실시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질환 발병 과정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육종민 교수 연구팀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연구팀과 함께 그래핀을 이용해 알츠하이머 질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아밀로이드 섬유 단백질의 실시간 거동을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단분자 관찰 기술(single-molecule technique)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단분자 관찰 기술은 단일 분자 수준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기법이다. 생체 과정에 수반되는 단백질 간 상호작용, 접힘, 조립 과정 등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기술이다. 현재까지는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거나, 단백질을 급속 냉동, 움직임을 고정해 분자 구조를 해석하는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법이 활용됐다. 자연 그대로의 단백질을 특별한 전처리 없이 분자 단위에서 실시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은 없었다. 연구팀은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는 그래핀을 이용해 숙제였던 두꺼운 투과 막에 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