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루게릭병 신규 병리기전 밝혀…실험 쥐 운동신경세포 기능 개선"

 국내 연구진이 루게릭병의 새로운 병리기전을 밝히고 실험을 통해 이 병에 걸린 실험 쥐(마우스)에서 운동신경세포의 기능 개선을 보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뇌과학연구소 류훈 책임연구원과 보스턴대학교 의과대학 이정희 교수팀 공동 연구진이 이러한 성과를 국제 학술지 '의생명과학 학회지'(Journal of Biomedical Science)에 게재했다고 27일 밝혔다.

 루게릭병의 다른 이름은 '근위축성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으로, 뇌와 척수에 있는 운동신경세포가 파괴되는 병이다.

 운동신경세포가 손상되는 이유는 아직도 그 기전이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아 치료전략을 수립하기 매우 어렵다.

 연구팀은 루게릭병 세포 모델과 마우스 모델의 척수에서 '라이신특이적 탈메틸화효소'(이하 'LSD1')의 발현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해 있음을 이번 연구에서 확인했다.

 LSD1은 단백질의 라이신 잔기에 특이적인 메틸기를 제거하는 효소로, 히스톤 단백질의 탈메틸화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연구진이 스퍼미딘(spermidine)을 투여해 LSD1을 억제하자 운동 뉴런의 손실이 방지되는 것이 확인됐다.

 이 실험에서 루게릭병 마우스 모델에서 손상된 운동신경세포가 회복되고 마우스의 운동능력 개선과 수명 연장이 이뤄졌다.

 KIST는 이런 연구 결과에 대해 "루게릭병의 치료를 위한 신규 약물 타깃이나 치료전략의 가능성을 높이는 연구 기반 구축에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류 책임연구원과 이 교수는 "루게릭병에서 발견한 새로운 후성유전학적 병리기전은 여러 다른 퇴행성 뇌 질환의 병리기전을 규명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뇌질환극복사업 지원과 KIST 기관 주요 사업으로 수행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 아직은 집단행동 자제…정부 강경기조에 '신중 모드'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전공의 단체가 즉각적인 집단행동에 나서기보다는 우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며 신중을 기하는 모양새다. 정부에서도 전공의들이 당장 집단행동 의사를 표명하지 않은 데에 한숨을 돌렸다. 다만 전공의들이 언제든 집단휴진과 같은 총파업이나 집단사직 등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전공의들이 수련 재계약 거부 등 법적 테두리 내에서 투쟁을 모색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 대전협, '비대위 체제' 전환…집단행동은 표명 안해 13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전날 진행된 온라인 임시대의원총회에서 박단 회장을 제외한 집행부 사퇴와 비상대책위원회 전환을 의결했다. 대전협은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이러한 결과를 보고하면서도, 향후 집단행동 계획에 대해서는 명확히 공개하지 않았다. 의료계 안팎에서는 전공의들이 우선 '신중 모드'에 접어든 것이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그동안 대전협이 여러 차례 집단행동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음에도 불구하고, 비대위 체제 전환 외에 구체적인 '액션 플랜'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는 점에서다. 정부가 의사들의 집단행동에 법과 원칙에 따른 '강경 대응' 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박테리오파지 DNA 이용해 치명적 항생제 내성균 잡는다"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문제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미국 연구진이 세균에 침투할 수 있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를 조작해 박테리아에 침투시키는 방법으로 치명적인 항생제 내성균을 죽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에리카 하트만 교수팀은 미국 미생물학회(ASM) 학술지 미생물학 스펙트럼(Microbiology Spectrum)에서 박테리아에 박테리오파지 DNA를 투입해 내부로부터 세균을 죽이는 기술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치명적인 병원균의 하나인 녹농균에서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박테리오파지를 질병 치료에 이용하는 '파지 치료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 연구 결과는 바이러스 DNA를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를 죽이는 새로운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진전이라고 말했다. 항균제 내성 박테리아 증가는 전 세계 보건에 시급하고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매년 약 300만 건의 슈퍼박테리아 감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3만5천여 명이 사망하고 있다. 하트만 교수는 "박테리오파지는 여러 면에서 미생물학의 '마지막 미개척지'지만 이를 이용한 파지 치료는 항생제 의존도를 낮출 수 있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