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숲 살리자" 산림청, 2029년까지 섬 765ha 생태복원 추진

보령 삽시도서 현장토론회…섬숲 경관 복원 중점 논의

 산림청이 2029년까지 765ha에 이르는 섬을 대상으로 섬별 특성을 살린 생태복원사업을 추진한다.

 산림청은 '제5회 섬의 날'(8월 8일)을 앞두고 지난달 30일 오후 충남 보령시 오천면 삽시도에서 '섬숲 경관 복원사업의 효율적인 사후관리를 위한 현장토론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섬숲 생태복원 계획을 발표했다.

 산림청은 2020년 섬숲 복원계획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복원에 나서 지난해까지 염해와 가축 방목, 골재 채취 등의 이유로 훼손된 섬숲 265ha를 복원했다.

 삽시도는 침식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방부 원주목을 활용한 '소파공법'(消波工法)을 적용해 해송과 자귀나무 등을 성공적으로 복원했으며, 2019년 전국 산림생태복원 기술대전에서 대상을 받기도 했다.

 우리나라 섬은 유·무인도를 합쳐 4천158개에 면적은 37만3천ha에 달한다. 국토 면적의 3.7%다.

 이 가운데 숲은 22만1천ha로 전체 섬 면적의 59.2%를 차지하며, 희귀·특산식물 등이 서식하는 생태계 보고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김용관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섬숲은 육지와는 다른 독특하고 고유한 생태·문화적 가치를 보유한 곳"이라며 "관계기관과 협력해 섬숲 경관 복원을 확대하고 산림생태계 보전과 생물다양성을 증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의 두 원인단백질 서로 소통하며 독성 조절한다
알츠하이머의 두 원인 단백질이 서로 소통하며 독성을 조절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임미희 교수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이영호 박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윤경·임성수 박사 공동 연구팀은 최근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병리 단백질 중 하나인 타우 단백질의 '미세소관 결합 부위'(MBD)가 다른 원인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베타와 상호작용해 세포 독성을 완화할 수 있음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고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신경세포 안에 있는 타우 단백질과 신경세포 외부에 있는 아밀로이드 베타가 각각 신경섬유다발,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체 형태로 비정상적으로 응집·축적돼 발생한다. 두 단백질은 서로 다른 세포 구획에서 병리적 구조물을 형성하지만 세포 내·외부에서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데, 이 때문에 병의 진행 과정에서 이들의 상호작용이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연구팀은 타우 단백질이 미세소관(세포 내 수송로)과 결합하는 부위 중 일부가 아밀로이드 베타와 결합해 '타우·아밀로이드 베타 복합체'를 만든다는 것을 확인했다. 아밀로이드 베타 자체는 독성이 강한 딱딱한 섬유 형태지만, 타우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