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숲 살리자" 산림청, 2029년까지 섬 765ha 생태복원 추진

보령 삽시도서 현장토론회…섬숲 경관 복원 중점 논의

 산림청이 2029년까지 765ha에 이르는 섬을 대상으로 섬별 특성을 살린 생태복원사업을 추진한다.

 산림청은 '제5회 섬의 날'(8월 8일)을 앞두고 지난달 30일 오후 충남 보령시 오천면 삽시도에서 '섬숲 경관 복원사업의 효율적인 사후관리를 위한 현장토론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섬숲 생태복원 계획을 발표했다.

 산림청은 2020년 섬숲 복원계획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복원에 나서 지난해까지 염해와 가축 방목, 골재 채취 등의 이유로 훼손된 섬숲 265ha를 복원했다.

 삽시도는 침식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방부 원주목을 활용한 '소파공법'(消波工法)을 적용해 해송과 자귀나무 등을 성공적으로 복원했으며, 2019년 전국 산림생태복원 기술대전에서 대상을 받기도 했다.

 우리나라 섬은 유·무인도를 합쳐 4천158개에 면적은 37만3천ha에 달한다. 국토 면적의 3.7%다.

 이 가운데 숲은 22만1천ha로 전체 섬 면적의 59.2%를 차지하며, 희귀·특산식물 등이 서식하는 생태계 보고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김용관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섬숲은 육지와는 다른 독특하고 고유한 생태·문화적 가치를 보유한 곳"이라며 "관계기관과 협력해 섬숲 경관 복원을 확대하고 산림생태계 보전과 생물다양성을 증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경기도의료원 수원·안성·이천병원, AI 진단보조시스템 도입
경기도는 경기도의료원 수원·안성·이천병원에 'AI 진단보조시스템'과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을 도입해 AI 공공의료 실증 지원사업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AI 진단보조시스템은 의료기관의 기존 PACS(의료영상 저장·전송 시스템)와 연동돼 실시간 진료에 활용된다. 폐결절, 유방암, 치매, 뇌졸중 같은 주요 질환의 영상 판독과 식약처 인증을 받은 설루션을 지원하는 등 의료진의 판독 업무를 보조해 진단의 정확도와 속도를 높이게 된다.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은 3개 병원의 영상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AI 학습용 데이터로 전환해 의료 AI 기업의 데이터 확보 어려움을 해소하게 된다. 유신씨앤씨 컨소시엄이 수행하는 실증사업은 오는 11월까지 7개월간 진행된다. 컨소시엄에는 PACS 연동과 영상 데이터 가명화에 강점을 지닌 유신씨앤시, 폐결절과 유방암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AI 진단 설루션을 보유한 루닛, 뇌질환 중심의 MRI 기반 분석 기술에 특화된 휴런 등 분야별 전문기업이 참여한다. 도는 사업 종료 시점에 맞춰 성과공유회를 열고 시스템 운영 결과와 의료데이터 활용 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 확대 여부를 검토하고 향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