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종양(뼈암) 절제 부위 최소화 3D 프린팅 임플란트 기술 개발

UNIST·국립암센터·경상대 공동 연구…환자 맞춤형 인공 뼈 제작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금속 인공 뼈(임플란트)를 활용해 뼈암(골종양) 절제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 연구팀이 국립암센터 박종웅 교수팀, 경상대 성효경 교수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3D 프린팅 티타늄 임플란트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뼈암은 주로 팔이나 다리뼈에 생기는데 정형외과적 수술로 종양 부위를 제거하는 치료법을 쓴다.

 암세포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뼈를 충분히 절제한 후 표준화된 금속 임플란트를 심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암이 침범하지 않은 멀쩡한 관절도 암 발생 부위와 가까울 경우 함께 절제하고 인공 관절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공동 연구팀은 맞춤형 3D 프린팅 임플란트 설계와 제조 기술로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은 환자의 다리뼈 중 암이 침범한 부 분만 최소 절제하고, 무릎 관절은 그대로 보존해 보행 기능을 최대한 회복하도록 돕는 3D 프린팅 인공 뼈를 설계해 만들었다.

 인공 뼈 재료로는 생체 적합성이 뛰어난 티타늄 합금(Ti-6Al-4V)을 사용했으며, 금속 3D 프린팅 방식 중 하나인 전자빔 융용 기법(EBM·Electron Beam Melting)으로 맞춤형 인공 뼈를 찍어냈다.

전자빔 융용 기법은 합금 분말을 전자빔으로 녹여 인공 뼈 모양을 잡는 방식이다.

 

 3D 프린팅 인공 뼈는 환자 맞춤형·일체형으로 제작돼 수술 시간과 회복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연구팀은 또 환자 보행 시 하중과 재료 미세 구조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안정적으로 오래 쓸 수 있는 3D 프린팅 인공 뼈 구조를 찾아냈다.

 제1 저자인 국립암센터 근골격종양클리닉 박종웅 교수는 "이번 연구로 역학적으로 가장 악조건에 노출되는 하지의 장골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이뤄져, 향후 어떤 부위의 임플란트라도 기계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교신저자인 정임두 교수는 "단순히 3D 프린팅 프로토타입을 제조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의료 산업 분야에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한 좋은 실증 연구"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스프링거 네이처'(Springer Nature)에서 출판하는 의료 제조 분야 국제 학술지인 '바이오-디자인 앤드 매뉴팩처링'(Bio-Design and Manufacturing)에 6일 자로 게재됐다.

 연구 수행은 보건복지부 소속 국립암센터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與 "생명관련 필수의료수가 대폭인상·민간도 공공수가 적용"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이 응급의학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의료 분야 기피 현상을 해결하고자 생명과 관련된 필수의료 행위에 대한 수가를 대폭 인상하고, 민간 의료기관이라도 필수 의료를 수행하면 공공정책 수가를 적용하는 내용을 담은 필수의료육성법 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필수의료 분야에서 의료사고 발생 시 의료인에 대한 민·형사상 부담을 완화하는 내용을 담은 의료법·형사처벌특례법 재·개정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국민의힘 '지역필수의료 혁신 태스크포스' 위원장인 유의동 정책위의장은 12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TF의 지난 2개월여간 논의 결과를 설명하며 이같이 발표했다.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싸고 정부와 대한의사협회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의사단체가 요구하는 주요 보완책 등을 의대정원 확대와 함께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힘으로써 의료계 달래기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유 정책위의장은 이날 지역필수 의료제도 개선을 위해 TF가 ▲ 지역 간 의료불균형 문제 해소 방안 ▲ 필수의료인력 육성 방안 ▲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근무하는 의료 인력 지원 방안 등 세 가지 방안을 마련했다며 "논의 결과를 정부에 전달해 정부가 추진하는 지역 필수 의료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