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제약사 새 편두통약 아토게판트, 편두통 발작 50% 줄여"

 미국 앨러간(Allergan) 제약회사가 개발한 새로운 경구용 편두통 치료제 아토게판트(atogepant)가 편두통 발작 빈도를 절반으로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 의대 임상신경과 전문의 찰스 플리펜 교수 연구팀이 편두통 환자 900여 명을 대상으로 12주에 걸쳐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효과가 확인됐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1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4그룹으로 나누어 3그룹에는 아토게판트를 용량을 달리해 복용하게 하고 나머지 한 그룹에는 위약(placebo)을 투여했다.

 그 결과 아토게판트 그룹은 편두통 발작이 일어난 날이 월 7~8일에서 3~4일로 줄어들었다.

 임상시험이 진행된 3개월 동안 아토게판트 최대 용량이 투여된 그룹은 61%가 월 편두통 발작 빈도가 최소한 50% 이상 줄었다.

 부작용은 주로 오심과 변비로 아토게판트 최대 용량 투여 환자 중 15%에서 나타났다.

 아토게판트는 편두통 발작 때 삼차신경(trigeminal nerve)이 방출하는 저분자 단백질(CGRP)의 세포 수용체를 차단한다.

 삼차신경은 뇌의 12쌍 신경 중 안면으로 이어지는 신경으로 안면과 뇌의 통각을 뇌에 전달한다.

 기존의 편두통 약제들은 고혈압이나 협심증에 사용하는 베타차단제와 칼슘통로 차단제, 항우울제, 뇌전증에 쓰이는 항전간제 등 다른 질환에 처방되는 약물들로 편두통 치료에도 효과가 있어 사용되고 있다.

 웨일 코넬(Weill Cornell) 의대 신경과 전문의 매슈 로빈슨 박사는 구세대 편두통 치료제들은 값싼 복제약들이 많기 때문에 CGRP 계열의 신세대 약제들이 1차 치료제로 선택될 가능성은 적지만 다른 치료제가 듣지 않는 편두통 환자들에게는 이러한 신세대 치료제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논평했다.

 앨러간 사는 지난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아토게판트의 승인을 신청했다. FDA의 결정은 금년 말께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의 의학 전문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개혁]"대형병원, 전공의 의존 낮추고 중증환자 중심으로 바꿔야"①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이 대거 병원을 떠난 후 좀처럼 돌아오지 않으면서 국내 의료체계의 '민낯'이 드러나고 있다. 전문의가 되고자 수련하는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의 이탈만으로 심각한 '의료대란'이 벌어진 것은 그동안 전공의에 지나치게 의존해온 국내 의료체계의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전공의의 집단사직으로 인한 의료대란이 역설적으로 상급종합병원의 제 기능을 일깨우고 있다. 상급종합병원들은 전공의 이탈로 어쩔 수 없이 경증환자를 돌려보내고 중증환자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야말로 상급종합병원의 '정상'적인 모습이라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공의에게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줄이고, 상급종합병원을 중증·응급환자 중심으로 개편하는 등 국내 의료체계의 '정상화'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한다. ◇ 의료대란 부른 '전공의 과의존'…정부 "병원 구조 바로잡겠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그동안 대학병원 등 주요 상급종합병원은 교수나 전문의보다 '값싼' 노동력인 전공의를 대거 투입하며 비용 절감을 꾀해왔다. 2021년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결과에서 전공의는 상급종합병원 전체 의사 인력의 37.8%를 차지했다. 이른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명에너지 활용한 환경호르몬 검출법 개발…안전성 평가 기준 기대
부산대학교는 생명과학과 윤부현·김태진 교수팀이 내분비계 장애 물질(환경 호르몬)을 판별하는 세포주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판별 시험법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 환경호르몬은 외부에서 유입돼 체내 호르몬의 생리 작용을 교란하는 물질로 오존층 파괴, 지구온난화와 함께 세계 3대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환경 호르몬 판별을 위한 다양한 검색 시험법의 가이드라인화를 추진하는 가운데 이번에 부산대 연구팀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생리 작용을 교란하는 에스트로겐성 환경 호르몬을 판별할 수 있는 시험법 개발에 성공했다. 환경호르몬이 국제적인 환경문제로 대두되면서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1998년부터 환경 호르몬 판별 시험법 개발연구를 추진해 오고 있다. 최근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환경 호르몬 판별을 위한 동물대체시험법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부산대 연구팀은 동물실험 없이 인체 세포주만으로 에스트로겐성 환경 호르몬을 탐지할 수 있는 시험법을 개발했으며, OECD 시험 가이드라인 검토를 거쳐 국제 표준 시험법으로 채택될 것으로 기대된다. 에스트로겐은 체내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해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이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