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 이상하게 살펴보는 아기, 자폐아일 수도"

 아기가 이상한 시선으로 물건을 쳐다보는 행동도 자폐스펙트럼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의 예고 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 대학 마인드 연구소(MIND Institute: Medical Investigation of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Institute)의 미건 밀러 정신의학·행동과학 교수 연구팀은 생후 9개월 이후부터 특이한 방법으로 어떤 물건을 살펴보는 아기는 나중 ASD로 진단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25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그런 아기가 물건을 바라보는 4가지 특이한 관찰 모습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물건을 곁눈질로 쳐다본다.

 ▲ 물건을 얼굴에 아주 가까이 갖다 대고 본다.

 ▲ 물건을 한쪽 눈을 감고 본다.

 ▲ 물건을 10초 이상 뚫어지게 본다.

 생후 9개월부터 시작되는 이러한 행동은 그로부터 12개월 동안 나타나는 사회행동을 예고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영아가 사물에 지나치게 눈의 초점을 맞추는 것(over-focus)은 그만큼 사람에 대한 관심이 적음을 나타내는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물건을 비정상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은 ASD의 중요한 증상의 하나인 사회성 결핍에 앞서 나타나는 선행 표지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연구팀은 형 또는 언니가 ASD라서 자신도 ASD 위험이 높은 영아 89명과 ASD 형이나 언니가 없어 ASD 위험이 낮은 영아 58명을 대상으로 생후 9, 12, 15, 18, 24, 36개월이 되었을 때 어떤 방법으로 물건을 가지고 노는지를 살펴봤다.

 다른 사람과 얼마나 눈을 자주 맞추는지, 다른 사람을 향해 얼마나 자주 웃는지 그리고 전반적인 사회적 반응 등 사회행동도 평가했다.

 이와 함께 이상한 시선으로 물건을 살펴보는 행동이 얼마나 잦은지도 관찰했다.

 생후 36개월이 됐을 때 연구팀은 이 아기들을 ▲ASD 고위험군(72명) ▲ASD 저위험군(58명) ▲ASD 판정(17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중 ASD로 판정된 아이들은 이상한 시선으로 물건을 관찰하는 행동이 가장 뚜렷하고 지속적이며 또 가장 일찍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아이들은 생후 9개월 때부터 다른 그룹 아이들보다 이러한 행동이 잦았고 그 이후에도 계속 이러한 행동의 빈도가 높았다.

 이 결과는 이상한 방법으로 물건을 살펴보는 행동을 ASD의 조기 검사와 진단 도구에 추가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심리학회(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학술지 '이상 심리학 저널'(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몸 1차 방어기관 피부 모사한 기능성 상피 '오르가노이드' 개발
국내 연구진이 우리 몸의 1차 방어기관인 피부를 모사한 기능성 상피 오르가노이드(organoid)를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환경질환연구센터 이정운 박사 연구팀이 상처 치료를 촉진하는 3차원 피부 상피 모델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오르가노이드는 인체 장기 등에서 추출한 조직 샘플이나 줄기세포를 3차원으로 증식해 만든 장기유사체로, 생체 내외의 특성을 모사할 수 있어 질병 메커니즘 연구, 신약개발과 같은 다양한 바이오 분야에서 활용 중이다. 그동안 피부 상피 연구는 사람 표피에서 분리한 각질형성세포를 2차원 배양한 세포주를 이용했지만, 세포 간 상호작용과 같이 세포 본연의 생리 조건을 모사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마우스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피부 상피 오르가노이드를 만들어 피부재생 효과를 확인했다. 개발한 오르가노이드는 다량의 세포 외 소포체를 분비해 상피세포 배양 복합체보다 우수한 상처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질환 모델로서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나아가 첨단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정운 박사는 "생체 외 피부 모델을 통해 질병, 노화 등 피부재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물질 평가뿐만 아니라 치료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