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식 수술 '시옷' 형태 커다란 흉터 감춘다...로봇 수술로 작은 구멍만 남아

 장기 이식은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위대한 의술이지만 필연적으로 기증자와 수혜자 몸에 흉터가 남을 수밖에 없다. 아름다운 기적의 흔적이라고 해도 환자에게는 평생의 부담이 되는 게 사실이다.

 이런 현실에서 국내 의료진이 로봇과 복강경을 이용해 기증자와 수혜자 모두 최소한으로만 절개해 간을 적출, 이식하면서 외부에 드러나는 흉터 없이 수술을 마무리하는 성과를 냈다.

 서울대병원 간이식팀(서경석·이광웅·이남준·최영록·홍석균·한의수)은 지난 4월 순수 복강경으로 기증자의 간을 절제해 역시 순수 복강경으로 수혜자에게 이식하는 데 세계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장기이식은 외과 수술 중에서도 난도가 높은 분야다. 기증자에게 복강경 수술로 간 절제를 하기도 까다롭지만, 특히 수혜자에 이식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 불가능의 영역으로 여겨졌다.

 그동안 수혜자의 배를 열지 않고 복강경과 로봇을 이용해 이식하는 것은 세계 어느 곳에서도 시행하지 못했다가 이번에 성공했다.

 개복 수술이었다면 환자들의 배 중앙에는 커다란 '시옷' 형태의 흉터가 남지만, 로봇과 복강경으로 이뤄진 수술에서는 복부에 작은 구멍 몇 개만이 남는다.

 간의 적출과 이식을 위해서는 치골 부위를 절개하는 데 이 부분은 대개 하의 속옷을 통해 가려지므로 상의를 탈의하더라도 흉터가 보이지 않는다.

 서경석 교수는 "이번 수술은 수혜자에게 순수 복강경-로봇으로 간이식을 한 세계 최초의 쾌거"라며 "수혜자도 커다란 수술 상처에서 해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주 발생하는 폐와 상처의 합병증도 줄이고 회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이식학회지'(American Journal of Transplantation)와 '영국외과학회지'(British Journal of Surgery) 등에 각각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고령화 대비 건보료율 상한 높이는 안 검토…5년간은 괜찮지만
정부가 고령화에 대비해 건강보험료율의 법적 상한인 8%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한다. 향후 5년간은 건강보험 재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겠지만, 고령화 등으로 의료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하는 것이다. 의료비 상승의 주범으로 꼽히는 비급여 의료 행위에 '메스'를 들이대 급여와 비급여가 뒤섞인 혼합진료를 금지하고, 효과성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 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없게 퇴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4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제2차 국민건강보험 종합계획(2024∼2028)을 발표했다. ◇ 적정 수준 건보료율 논의…국고 지원 법률도 개정 정부는 급격한 고령화로 의료비가 급증함에 따라 보험 재정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 건강보험료율 상향 조정과 관련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건강보험료는 법에 따라 월급 또는 소득의 8%까지 부과할 수 있게끔 묶여있는데, 지난해 건강보험료율(7.09%)이 7%를 돌파하면서 상한에 가까워졌다. 올해 건강보험료율은 동결됐다. 배경에는 저출생과 총인구 감소, 저성장 기조 때문에 보험료 수입이 정체돼 재정의 지속성에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 있다. 정부는 다른 나라의 사례를 참고해 적정한 수준의 보험료율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