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성제 리탈린, 치매 환자 '무감동'에 효과"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에 쓰이는 각성제 메틸페니데이트(제품명: 리탈린)가 치매 환자의 무감동(감정의 부재: apathy)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찰스턴 소재 재향군인 메디컬센터의 노인 정신의학 전문의 야코보 민처 교수 연구팀이 경증 내지 중등도(moderate) 치매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3상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효과가 나타났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28일 보도했다.

 이들은 2016~2020년 치매 진단을 받은 후 자주 심한 무감동 증상을 보였다. 평균 연령은 76세, 남성이 3분의 2였다.

 연구팀은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99명에게는 리탈린 10mg을 매일 두 차례, 나머지 101명에게는 위약(placebo)을 6개월 동안 투여했다.

 6개월 후 리탈린 그룹은 치매 환자의 행동 심리 증상을 평가하는 도구인 신경 정신행동 (NPI: Neuropsychiatric Inventory) 점수(최고 12점), 즉 '무감동 점수'가 위약이 투여된 대조군에 비해 평균 1.25점 낮아졌다.

 이는 효과의 크기(Cohen's d)로 따지면 0.365점으로 중간 효과에 다소 못 미치는 수준에 해당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Cohen's d 값이 0.2인 경우는 작은 효과, 0.5인 경우는 중간 효과, 0.8 이상이면 큰 효과로 평가된다.

 이러한 효과는 리탈린 투여 시작 2개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6개월 내내 지속됐다.

 이 치매 환자들은 대부분 치매 치료제인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와 메만틴 그리고 선별 세 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같은 항우울제를 먹고 있었다,

 그러나 이 약들이 이 임상시험 결과에 교란 효과(confounding effect)를 미치지는 않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교란 효과란 여기서는 임상시험 결과를 왜곡시키는 변수를 말한다

 이에 대해 미국 예일 대학 신경과학 영상센터의 신경과 전문의 캐롤라인 프레더릭스 교수는 무감동 증상은 치매 환자의 20~90%에서 나타난다면서 치매 환자의 무감동 증상은 환자 자신과 보호자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만 아직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어떤 치료 방법이 됐든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오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그는 평가했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주의력과 행동을 조절하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노르아드레날린을 활성화하는 중추신경 자극제로 주로 ADHD와 발작적 수면인 기면증(narcolepsy) 치료에 쓰이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신경학'(JAMA Neurology)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