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2만명분 확보, 추가 물량 협상중"

 

 정부가 미국 제약사 머크앤컴퍼니(MSD)와 화이자, 스위스 제약사 로슈와 경구용 신종 코로나19 치료제(먹는 치료제) 구매 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최소 2만명분은 이미 확보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5일 코로나19 치료제 구매와 관련 "MSD, 화이자, 로슈와 구체적인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협의 과정은 비공개가 원칙이며, 계약이 완료되는 등 일정 시점에 내용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MSD가 개발 중인 경구용 치료제 '몰누피라비르'에 대한 긴급사용 승인을 검토 중이다. 화이자와 스위스 로슈는 임상 3상에 들어갔고, 국내 제약사들도 먹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 이날 아침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약 4만명을 치료할 수 있는 분량은 예산을 확보했고 2만명분은 선구매 계약을 한 상태"라면서 "FDA 승인을 신청한 회사뿐 아니라 국내 개발 업체의 상황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질병청은 김 총리가 언급한 계약 물량과 관련해 "2만명분을 포함해 이미 확보된 물량이 있고, 추가로 협의 중인 물량도 있다"며 "구체적인 계약 상황을 현시점에서는 모두 말씀드리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경구용 치료제 구매 예산으로 총 362억원을 편성했으며, 이 예산으로 3만8천명분의 치료제를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설명에 따르면 1인당 치료제 구매 비용은 95만 정도다.

 정부는 이 치료제를 중증이나 사망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큰 코로나19 고위험군에 사용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서울대병원, 부산 기장에 중입자치료센터 증축공사…남부권 암치료 거점
서울대학교병원이 2027년 부산에 중입자치료센터를 건립하고 암 환자 치료에 들어간다. 부산시와 서울대병원은 부산 기장군 장안읍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단지에 조성된 중입자치료센터에서 치료 장비 구축을 위한 증축·리모델링 공사 착공식을 지난 7일 가졌다. 이번 행사에는 박형준 시장을 비롯해 조성경 과기부 제1차관, 김영태 서울대병원장, 안성민 부산 시의회 의장, 정동만 국회의원, 정종복 기장군수, 이창훈 동남권원자력의학원장 등 100여 명이 참석한다. 중입자치료는 우리 몸을 구성하는 원소인 탄소 원자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해 나온 에너지를 암세포에 정확히 충돌시켜 파괴하는 최첨단 치료법이다. 기존 화학·방사선요법과 비교해 부작용은 줄고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에 치료 효과를 높여 주목받는 치료법이다. 이번에 시행하는 증축·구조변경 공사는 중입자가속기를 중입자치료센터에 도입하기 위한 마지막 과정이다. 서울대병원은 다양한 각도에서 빔을 쏘아 환자가 움직일 필요 없이 편안하게 치료 자세를 조정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회전 갠트리'를 비롯해 중입자가속기 관련 설비 등을 보강한다. 올해부터 2년간 총 250억원을 투자해 보강공사를 완료하고 중입자가속기 조립·설치, 인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한국 최초 유전자치료제' 인보사 둘러싼 법정 공방
한국 최초의 유전자치료제로 상품화됐다가 허가 취소된 코오롱생명과학[102940]의 골관절염 치료제 인보사케이주(이하 인보사)가 품목허가 취소가 적법했다는 2심 판결로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이웅열 코오롱그룹 명예회장이 "내 인생의 3분의 1을 투자했다"며 자신의 세 자녀에 이은 '네 번째 아이'라고 부른 것으로 알려진 인보사는 2017년 7월 식약처의 품목허가를 받을 무렵만 해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허가받은 유전자 치료제이자, 세계 최초 골관절염 유전자 치료제로 크게 주목받았다. 코오롱생명과학은 품목허가에 앞서 국내 무릎 퇴행성관절염 환자 159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3상에서 인보사를 투여한 시험군이 위약(가짜약)을 투여한 환자군보다 무릎 기능성 및 활동성 평가, 통증지수평가, 골관절염 증상 평가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우월한 결과가 나타나는 등 유효성과 안정성을 확인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인보사는 국내 품목허가에 앞서 2016년 일본 미쓰비시다나베 제약에 최대 5천억원 규모로 기술수출됐다가 이듬해 취소됐지만, 2018년 일본 진출을 겨냥한 다국적 제약사 먼디파마와 6천700억원에 다시 수출계약이 체결되는 등 해외에서도 반향이 컸다.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