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 신약 임상시험 수도권 의료기관에 집중 시행

참여 가능 임상 서울 94%, 경기 53%, 부산 등 나머지는 10%대 이하
.

 더 쓸 약이 없는 암 환자의 마지막 기회로 여겨지는 신약 임상시험이 수도권 소재 의료기관에서만 집중적으로 시행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 동안 서울에서는 국내에서 수행 중인 항암제 임상시험 중 94%에 참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에서는 이 비율이 53%였다.

 서울과 경기도를 제외한 모든 광역단체에서는 참여 가능한 임상시험의 비중이 10%대 또는 그 미만이었다.

 지난해 기준 항암제 임상 235건 중 서울에서는 189건(80.4%), 경기도에서는 117건(49.8%)에 참여할 수 있었으나 부산에서는 40건(17.0%), 대구에서는 36건(15.3%)만 참여할 수 있었다.

 최근 5년간 평균값을 보면 비수도권 중 가장 높은 부산(19.9%), 대구(18.2%), 전남(14.5%), 충북(12.1%)조차 10%에 그쳤고, 울산, 경남, 대전, 전북, 광주, 강원, 충남은 10%도 안 됐다. 세종, 경북, 전남은 5년 동안 참여할 수 있었던 항암제 임상이 전무했다.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암 환자가 임상에 참여하려면 서울이나 경기도 의료기관을 찾아야 하는 셈이다.

 신 의원은 "암 환자에게 항암제 임상은 이상의 표준치료법이 없는 상황에서 신약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데도 수도권 외 지역의 병원에서 참여할 수 있는 임상이 매우 적다"며 "또한 항암제 임상의 수도권 집중은 암 환자의 수도권 의료기관 쏠림 현상을 심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반복되는 수도권 대형병원으로의 쏠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기존에 논의됐던 요소들 외에 항암제 임상 참여와 같은 원인에 대한 고려와 분석도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표] 시도별 참여 가능한 항암제 임상시험 수 및 비율 (단위: 개, %)

 

시도 2016 2017 2018 2019 2020 평균
비율
비율 비율 비율 비율 비율
합계 151 100.0 171 100.0 169 100.0 145 100.0 235 100.0 100.0
서울 146 96.7 167 97.7 165 97.6 143 98.6 189 80.4 94.2
부산 31 20.5 43 25.1 25 14.8 32 22.1 40 17.0 19.9
대구 30 19.9 32 18.7 32 18.9 26 17.9 36 15.3 18.2
인천 22 14.6 31 18.1 40 23.7 23 15.9 28 11.9 16.8
광주 4 2.6 1 0.6 2 1.2 4 2.8 4 1.7 1.8
대전 11 7.3 11 6.4 7 4.1 5 3.4 12 5.1 5.3
울산 12 7.9 12 7.0 13 7.7 14 9.7 12 5.1 7.5
세종 0 0.0 0 0.0 0 0.0 0 0.0 0 0.0 0.0
경기 75 49.7 83 48.5 92 54.4 93 64.1 117 49.8 53.3
강원 2 1.3 4 2.3 3 1.8 2 1.4 0 0.0 1.4
충북 15 9.9 17 9.9 24 14.2 25 17.2 22 9.4 12.1
충남 0 0.0 1 0.6 1 0.6 3 2.1 2 0.9 0.8
전북 10 6.6 6 3.5 7 4.1 4 2.8 5 2.1 3.8
전남 0 0.0 0 0.0 0 0.0 0 0.0 0 0.0 0.0
경북 26 17.2 35 20.5 20 11.8 17 11.7 26 11.1 14.5
경남 12 7.9 8 4.7 7 4.1 11 7.6 13 5.5 6.0
제주 0 0.0 0 0.0 0 0.0 0 0.0 0 0.0 0.0

 

※ 다기관 임상시험 중 두 지역 이상에서 실시된 경우 지역별 각각 1건씩 중복 산입, 같은 지역 내 2개 이상의 실시기관에서 수행된 경우 해당 지역에 1건으로 산입

※ 신현영 의원실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재구성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건보공단 "외국인·재외국민 피부양자 제도 합리적 개선"
건강보험공단은 외국인과 재외국민이 국내에서 피부양자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요건을 강화하는 등 외국인 피부양자 건강보험 제도를 보다 더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개선한다. 외국인은 한국계 외국인을 포함해 외국 국적을 가진 사람, 재외국민은 외국에 살면서도 우리나라 국적을 유지하는 한국인을 뜻한다. 19일 건보공단에 따르면 이들 외국인과 재외국민은 지금까지는 직장가입자와의 관계(가족, 친인척)나 소득·재산 요건만 충족하면 국내 거주 기간과 관계없이 국내에 들어오자마자 즉시 피부양자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외국인·재외국민 지역가입자의 경우 국내에 6개월 이상 체류해야만 건보에 가입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할 수 있는 것과 대비돼 형평성 문제가 발생했다. 하지만 오는 4월 3일부터 입국하는 외국인과 재외국민은 국내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이후에야 피부양자 자격을 얻을 수 있다. 다만 건보공단은 피부양자가 배우자이거나 19세 미만 미성년 자녀일 경우와 유학(D-2)·일반연수 초중고생(D-4-3)·비전문취업(E-9)·영주(F-5)·결혼이민(F-6) 등 거주 사유가 있으면 국내 입국 즉시 피부양자가 될 수 있게 했다. 외교관이나 외국 기업 주재원의 가족 등이 국내 건강보험을

메디칼산업

더보기
봄바람 타고 온 알레르기에 제약사들 신제품 속속 출시
따뜻한 봄과 함께 찾아오는 불청객이 있다. 꽃가루와 미세먼지, 황사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다. 과거에는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제가 졸음을 유발한다는 이유로 꺼리는 경우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졸음 등 부작용을 줄인 치료제가 속속 나오고 있다. 18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삼진제약은 최근 졸음, 진정 작용, 입 마름 등 기존 알레르기 치료제의 부작용을 줄인 펙소페나딘 성분의 일반의약품 '알러진정'을 출시했다. 펙소페나딘 등 항히스타민제는 두드러기, 가려움 등 알레르기성 반응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알레르기성 비염·결막염 등 알레르기 질환 외에도 코감기에 의한 콧물, 재채기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개발 순서에 따라 1~3세대로 구분되며 세대가 진화할수록 효과와 부작용이 개선됐다. 펙소페나딘 성분은 보통 3세대 항히스타민제로 분류된다. GC녹십자와 SK케미칼도 최근 일반의약품 '알러젯 연질캡슐'과 '노즈알 연질캡슐'을 시장에 출시했다. 두 제품 모두 펙소페나딘 성분 치료제로, 졸음이 쏟아지고 몸이 늘어지는 진정 작용을 줄였다. 제약사들이 알레르기 질환 분야 신제품을 속속 출시하는 데에는 대기 환경이 갈수록 악화하면서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