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음식 식중독 위험 피하려면?…식약처, 위생관리 매뉴얼 배포

음식량 많으면 소분해 냉장보관…섭취땐 꼭 가열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21일 배달 음식으로 인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배달 음식 위생관리 매뉴얼'을 배포했다.

 매뉴얼은 크게 음식을 주문하는 소비자와 조리하는 음식점, 배달하는 배달종사자가 각각 지켜야 할 위생 관리 요령으로 나뉜다.

 먼저 음식점에서는 조리 전·후 단계에서는 조리 종사자가 손 씻기와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고, 신선한 식재료와 육류·어패류를 다룰 때 사용한 조리도구는 깨끗이 관리해 교차 오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식중독균 발생 우려가 높은 어류·육류·가금류를 조리할 때는 식재료의 중심온도가 75℃(어패류 85℃) 이상이 되도록 충분히 가열해야 한다.

 식품 배달에 사용하는 용기는 '식품용 표시'가 있는 기준·규격에 적합해야 한다. 일회용 숟가락·일회용 젓가락 등은 '위생용품' 표시가 있는 제품을 제공한다.

 배달 종사자는 배달용 운반기구 등의 청결 상태와 배달 음식의 포장 상태를 확인하고, 따뜻한 음식과 차가운 음식이 서로 닿지 않게 구분해서 담아야 한다.

 소비자는 배달 음식을 받으면 즉시 섭취하되, 음식이 많을 경우에는 미리 작은 용기에 나눠 담아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다.

 보관된 음식을 먹을 때는 충분히 가열해야 하며, 보관 시기가 기억나지 않거나 냄새·상태가 좋지 않은 음식은 폐기해야 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국 곳곳 병원서 '주 1회 휴진'…정부는 "의료개혁 완수"
전국 곳곳의 의대 교수들이 사직서를 제출한 데 이어 주요 대학 병원들이 일주일에 한 번 외래진료와 수술을 중단하는 '주 1회 셧다운(휴진)'에 돌입한다. 이달 말 의대 모집 정원 확정을 앞두고 의대 교수들이 사직과 휴진으로 대정부 압박을 이어가는 가운데, 정부는 2천명 증원에서 물러섰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제는 의료계가 협상에 응해야 할 때라고 맞서고 있다. 24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을 포함해 전국 곳곳에서 일주일에 하루 요일을 정해 외래진료와 수술을 중단하는 대학병원이 속출하고 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전날 총회를 열고 오는 30일부터 '주 1회' 휴진하기로 결의했다. 서울아산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울산의대 교수협 비대위도 전날 총회에서 다음 달 3일부터 주 1회 휴진하기로 결정했다. 울산의대 비대위는 "장기간 비상 의료 상황에서 교수들은 정신적, 신체적인 한계로 인해 진료, 수술에 있어 재조정 될 수밖에 없다"고 배경을 밝혔다. 충남대병원·세종충남대병원 비대위는 이번 주부터 매주 금요일 외래진료를 휴진하기로 했다. 원광대병원 비대위도 오는 26일부터 매주 금요일 수술을 중단하기로 했고, 다음 달 3일부터 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건선 치료제 '스카이리치', 연 4회 투여로 편의성 높아"
백유상 고대 구로병원 피부과 교수는 지난 22일 "손발바닥 농포증은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데 스카이리치는 연 4회 투여하면 돼 편의성을 갖췄다"고 말했다. 백 교수는 이날 세계적 제약사 애브비의 한국 법인 한국애브비가 서울 강남 안다즈호텔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스카이리치(성분명 리산키주맙)는 애브비가 개발한 판상 건선, 건선성 관절염, 손발바닥 농포증 등 건선성 질환을 포함한 4개 질환에 사용할 수 있는 생물학 제제다. 유지요법 기준 12주 간격으로 연간 총 4회 투여하면 되는데, 이는 현재 국내에 허가된 이 계열 생물학 제제 중 최대 투약 간격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애브비는 중등도~중증 손발바닥 농포증 성인 환자 대상 임상시험에서 이 치료제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면서, 지난 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보편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거나 내약성이 없는 성인 손발바닥 농포증 환자에 대한 허가를 획득했다. 손발바닥 농포증은 손발가락이나 손발바닥에 발진, 물집, 붉은 반점과 함께 노란색 농이 찬 무균성 고름이 나타나며 극심한 가려움증과 통증을 동반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발병 이유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