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관련 임상시험, 여성 참여율 여전히 낮아"

 뇌졸중 치료법에 관한 임상시험의 경우 여성 참가자의 비율이 남성에 비해 너무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조지 세계 건강 연구소(George Institute for Global Health)의 셰릴 카셀 박사 연구팀이 1990~2020년 진행된 뇌졸중 관련 임상시험 281건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 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0일 보도했다.

 각각의 임상시험에는 최소한 100명 이상의 환자가 참가했다.

 전체 참가 환자 수는 약 59만 명으로 여성 환자는 37.4%였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에 비해 해당 임상시험이 진행된 국가의 여성 뇌졸중 발생 율은 48%였다.

 전체적으로 뇌졸중 임상시험의 환자 참가 비율은 연구 기간 내내 여성 뇌졸중 발생 비율의 0.84%를 넘지 못했다.

 뇌졸중 종류별로는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이 여성 참가율이 0.73%로 가장 낮았다.

 뇌졸중 재활치료와 관련된 임상시험은 여성 참가율이 0.77%, 비급성 중재술(non-acute interventions) 관련 임상시험은 0.80%였다.

 뇌졸중 임상시험에서 여성 참여 비율이 여성의 뇌졸중 발생 비율을 정확히 반영하지 않는다면  그 임상시험 결과를 토대로 여성 뇌졸중 치료에 대한 권고를 제시하기 어렵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특히 여성은 뇌졸중 후 기능장애가 남성보다 더 심하고 따라서 남성보다 더 지지 치료(supportive care)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임상시험 연구자들은 여성의 임상시험 편입을 막는 장애물을 제거해 더 많은 여성을 참가시키고 임상시험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쪽에서는 남녀 참가자 비율이 균형을 이루어 신뢰도가 높은 결과가 나오도록 요구해야 할 것이라고 연구팀은 제언했다.

 이 연구 결과는 그러나 뇌졸중 임상시험 전부를 살펴본 것이 아니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학회(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학술지 '신경학'(Neur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공공병원·국공립대, 청렴도 미흡…내부갑질·연구비 횡령 여전"
공공 의료기관과 국·공립대학들이 국민권익위원회의 청렴도 조사에서 내부 갑질과 연구비 횡령 등의 문제 때문에 낮은 점수를 받았다. 공공 의료기관 22곳 중에서는 성남시의료원과 충북 청주의료원의 종합 총렴도가 가장 낮았고, 국공립대학 16곳 중에선 강원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등이 청렴도 하위 4등급으로 평가됐다. 권익위는 1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공공 의료기관 및 국공립대학 종합 청렴도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해 공공 의료기관의 종합 청렴도 점수는 평균 74.8점, 국공립대학은 77.6점으로 행정기관·공직 유관단체의 점수(80.5점)와 비교해 낮은 수준이었다. 공공 의료기관은 종합 청렴도 최상위인 1등급을 받은 곳이 아예 없었다. 2등급은 경북대병원, 경상국립대병원,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의료원, 전남대병원, 군산의료원, 전북대병원, 제주대병원, 충북대병원 등 9곳이다. 성남시의료원과 청주의료원은 최하위인 5등급을 받았고, 경기도의료원과 인천시의료원은 4등급이었다. 평가 지표 중 공공 의료기관 내부에서 일하는 근무자 1천800여명이 평가한 '내부 체감도'는 60.7점으로 현저히 낮았다. 부패 경험률도 환자·계약업체 등 외부의 경험률은 0.44%인 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항암제 부작용·내성 줄이는 표적 항암제 나온다
국내 연구진이 기존 항암제 부작용과 내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차세대 표적 항암제를 개발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은 연구소기업인 단디큐어 연구팀과 표적 단백질을 분해·제거하는 프로탁 약물 기술을 적용한 비소세포폐암 항암제 개발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표적 단백질 분해 기술의 일종인 프로탁은 항암제 반복 투여로 인한 내성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약물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프로탁의 암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비소세포폐암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비소세포폐암은 암 생존에 필수적인 폴로유사인산화 단백질1(PLK1)이 정상세포보다 20배 이상 과발현된다. 지금까지 PLK1을 대상으로 한 신약 개발 연구가 많이 이뤄졌지만, 부작용(독성)이 발생해 성공하지 못했다. 연구팀이 실험용 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프로탁 약물 투여군의 비소세포폐암 크기 성장이 최대 70% 억제됐고, 현재 사용 중인 표적 약물 치료제와 함께 투여하면 약물 효과가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보통 10∼13개월 정도로 알려진 항암제 내성이 일어나는 기간을 2년 이상 늘릴 수 있고, 생존 기간도 지금보다 3배 이상 연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