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최하위층, 코로나19 우울증상 최상위층보다 2.4배 높아

2023.03.23 18:06:53

 코로나19로 인한 소득 최하위 계층의 우울 증상 유병률이 최상위 계층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정신건강 위험도가 경제적 수준에 따라 격차를 보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021년 3월 전국 17개 시도에 사는 2천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실태 설문조사를 벌여 그 결과를 분석한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에게 평등하지 않았다'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23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우울 증상 유병률은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인 소득 최하위 계층(32.8%)과 500만원 이상인 최상위 계층(13.4%)의 격차가 2.4배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비율도 최하위 계층(24.1%)이 최상위 계층(6.74%)보다 약 3.6배 많았다.

 가구 구성원별로는 1인 가구의 위험이 더욱 컸다.

 1인 가구의 우울 증상 유병률(21.6%)은 2인 이상 가구(17.2%)와 4.4%포인트 격차를 보였다. 특히 남성의 경우 그 격차(1인 가구 22.9%·2인 이상 가구 14.5%)가 1.6배에 달했다.

[경기연구원 제공 자료]

 코로나19로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비율도 1인 가구(13.5%)와 2인 이상 가구(7.7%)가 1.8배 격차를 나타냈다.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낙인 인식도 심리적 고통을 가중한 것으로 분석됐다.

 낙인 인식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의 우울 증상은 8.9%인데 반면 '다소 있다' 또는 '매우 심하다'고 응답한 집단은 56.6%로 6.4배 차이를 보였다.

 이에 연구원은 신종 감염병 재난으로 인한 정신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에 대한 '우선적 중재 프로그램' 마련 ▲ 정신건강 인프라에 대한 취약계층의 접근성을 높이는 '찾아가는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 팬데믹에 대한 편견과 낙인 인식을 해소하는 정책 수립 등을 제시했다.

 연구를 수행한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신종 감염병 팬데믹이 발생했을 때 국민 정신건강 위험이 전염병처럼 확산하는 멘탈데믹(mentaldemic: mental+epidemic)에 대비해야 한다"며 "특히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의 형편에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