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이 끝난 뒤 첫해인 작년 흔히 감기로 불리는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이 20여 년 새 처음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바이러스 의한 감염이어서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지만, 방역 조치 완화 이후 호흡기 감염병이 동시다발적으로 유행한 것이 항생제 처방률을 반등시킨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31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발표했다.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과 급성기관지염 등 급성하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질병이어서 세균성 질환을 치료하는 항생제 사용은 권장되지 않기 때문에 심평원은 이들 질병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을 산출해 항생제 오남용 정도를 평가한다.
조사 결과 작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은 41.42%로 전년도 32.36%보다 9.06%포인트 증가했다.
항생제처방률은 2002년 73.33%였던 것이 꾸준히 감소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가 작년 상승했다.
항생제 처방률은 상급 의료기관으로 갈수록 낮았고, 환자의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감염내과) 교수는 "2023년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다양한 호흡기 감염증이 동시 또는 순차로 유행하면서 바이러스와 세균 감염의 감별 진단이 어려운 상황이었다"며 "특히 하기도감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세균에 의한 이차 감염을 우려해 항생제 처방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엄 교수는 "임상 현장의 어려움이 있지만 항생제는 적절하게 처방하지 않으면 여러 부작용 발생 위험과 항생제 내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특히 급성 상·하기도 감염은 주로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인 만큼 항생제 처방을 최소화하는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작년 주사제 처방률은 12.60%로 2022년 10.77%보다 1.83%포인트 증가했다.
처방건당 약품 수는 3.82개로 전년도보다 0.18개 늘었다.
심평원에 따르면 주사제는 경구투약을 할 수 없거나 경구투약 시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염려가 있는 경우, 응급환자에게 신속한 치료 효과가 필요한 경우 등에 한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