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텐트 시술받고 아스피린 먹는 환자, 수술 전 중단해도 될까

  • 등록 2025.10.23 13:29:15
크게보기

스텐트 시술 후 아스피린 복용 1천여명 분석…"중단해도 무방"

 심근경색 등으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는 재발을 막기 위해 아스피린을 평생 먹는다.

 문제는 이들이 심장이 아닌 다른 부위 수술을 받을 때다.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면 혈전 위험이, 반대로 유지하면 수술 중 출혈 위험이 커질 수 있어서다.

 상반된 우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스텐트 시술 후 아스피린을 먹는 환자가 다른 수술을 앞두고 복용을 중단하더라도 주요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 따르면 안정민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2017∼2024년 전국 의료기관 30곳의 환자 1천10명을 분석한 결과, 수술 30일 이내 사망·심근경색·스텐트 혈전증·뇌졸중 등 주요 합병증 발생률은 아스피린 유지군 0.6%, 중단군 0.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의 20% 상당은 통상 2년 이내에 정형외과나 안과 등 다른 진료 분야 수술을 받는데, 이때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국내외 임상 진료 지침은 출혈 위험이 아주 크지 않다면 아스피린 유지를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수술 전 아스피린 중단이 전제되는 경우가 많아 혼선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스텐트 삽입 12개월 후 다른 수술을 받고자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아스피린 유지와 중단에 따른 주요 합병증 발생 빈도를 비교한 것으로, 두 가지 모두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선택지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다만 아스피린을 계속 먹은 환자에서 경미한 출혈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보건의료연구원은 이번 연구가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환자의 수술 시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데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해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는 의료진과 환자가 근거와 선호를 함께 고려해 치료 방침을 정하는 '공유의사결정'(Shared Decision Making)'을 적극적으로 활용해달라고 보건의료연구원은 당부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