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자해·자살을 시도해 응급실을 찾은 환자 10명 중 4명은 10∼2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의 '2024 주요 중증 응급질환 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를 찾은 자해·자살 시도자는 3만5천170건으로 집계됐다.
2023년 대비 1만1천189건 감소했으나, 지난해 전반적인 응급실 이용이 줄면서 전체 내원 환자 중 자해·자살 시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0.8%로 최근 3년간 동일한 수준이었다.
연령대별 비중은 20대가 23.6%로 가장 컸고, 10대 16.3%, 30대 14.7%, 40대 14.3%, 50대 13.1% 순이었다.
10대 청소년과 20대 젊은 청년이 전체 자해·자살 시도자의 39.9%를 차지해 10명 중 4명꼴에 달했다.
남성 자해·자살 시도자의 연령대는 20대(18.9%), 50대(16.1%), 40대(15.5%) 순이었으나 여성의 경우는 20대(26.6%), 10대(20.6%), 30대(15.1%)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자해·자살 시도자의 월별 내원 비율은 지난해 1월(10.7%)에 가장 높았다. 이어 4월(9.3%), 2월(9.1%) 순이었다.
1월이 가장 높았던 데에는 재작년인 2023년 말 배우 이선균의 자살에 따른 이른바 '베르테르 효과'가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정부도 재작년 12월 유명인 사망 직후 7∼8주간 자살이 증가한 경향이 나타났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응급실에 왔을 때 최초 중증도 분류 결과는 중증(KTAS 1∼2)인 환자의 비율이 42.0%로, 경증(KTAS 4∼5)인 환자(13.2%)보다 높았다.
응급실 내원 자해·자살 시도자가 도착했을 때 이미 사망한 비율은 1.6%, 내원 후 사망한 비율은 4.8%였다.
남성 자해·자살 시도자의 병원 내 사망률이 7.9%로 여자(2.8%)보다 2배 이상이었다.
![(서울=연합뉴스)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의 '2024 주요 중증응급질환 지표'에 따른 2024 성별·연령별 응급실 내원 자해·자살 시도자. 2025.11.09.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의 '2024 주요 중증응급질환 지표' 보고서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http://img8.yna.co.kr/etc/inner/KR/2025/11/07/AKR20251107144100530_01_i_P4.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