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바이오에 무슨 일?…'조 단위 딜'이 터졌다

  • 등록 2025.11.16 13:16:42
크게보기

이중항체·피하주사·ADC 플랫폼, 글로벌 제약사 러브콜 집중
에이비엘·알테오젠·리가켐 '초대형 기술수출'로 존재감 확대

 국내 바이오 플랫폼 기업이 조단위 '빅딜'을 잇달아 체결하며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바이오 플랫폼은 다양한 의약품에 적용할 수 있는 핵심 기반 기술을 의미한다.

 16일 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에이비엘바이오[298380]는 일라이 릴리에 '그랩바디' 플랫폼을 기술이전했다.

 그랩바디는 이중항체 플랫폼으로 약물이 필요한 곳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돕는다.

 대표적으로 뇌혈관 장벽(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는 BBB를 통과하기 어려운 기존 약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플랫폼이다.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 수용체(IGF1R)를 통해 약물이 BBB를 효과적으로 통과하고 뇌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앞서 지난 4월 에이비엘바이오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그랩바디-B에 대한 4조원 규모 기 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회사는 이중항체 면역항암제를 개발하는 플랫폼 기술 '그랩바디-T'도 보유하고 있다.

 알테오젠[196170]은 피하 주사제 기술 'ALT-B4'를 기반으로 여러 기술 수출 성과를 냈다.

 ALT-B4는 피하조직 내 약물 침투를 방해하는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재조합 효소 단백질로, 인체 피부에 통로를 만들어 약물이 피하조직을 뚫고 들어갈 수 있게 돕는다. 정맥주사(IV) 치료제를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바꿔주는 기술이다.

 SC 제형은 IV와 달리 짧은 바늘을 사용해 피부와 근육 사이 조직층에 약물을 주사한다.

 약물 효과가 더 오래 지속되고 투여 빈도를 줄일 수 있는 데다 통증이 덜하다는 장점이 있다.

 환자가 집에서 짧은 시간 안에 스스로 주사할 수도 있다.

 알테오젠은 3월 아스트라제네카 자회사 '메드이뮨'과 13억달러(약 1조9천억원) 규모 ALT-B4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작년 11월에는 일본 다이이치산쿄와도 3억달러(약 4천억원) 규모로 ALT-B4를 기술 수출했다.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도 작년 10월 일본 오노약품공업에 항체·약물 접합체(ADC) 플랫폼 '콘쥬올'과 ADC 파이프라인 'LCB97'을 한꺼번에 기술이전했다.

 계약 규모는 최대 9천400억원이다.

 바이오 플랫폼 개발은 신약 개발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로우 리스크, 하이 리턴' 사업으로 평가된다.

 특정 약물이나 질환에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어 사업 확장성이 높은 데다 신약과 비교하면 연구개발(R&D)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아서다.

 개발 초기 단계부터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현금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도 기업 입장에서 유리하다.

 최근에는 삼성에피스홀딩스도 바이오 플랫폼 개발에 출사표를 던졌다.

 이 회사는 자회사 '에피스넥스랩'을 설립해 아미노산 결합체(펩타이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바이오텍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 기술 플랫폼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다만 글로벌 빅파마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바이오 플랫폼뿐 아니라 신약 개발도 필요하다는 평가다.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기업 가치는 대부분 블록버스터(연 매출 1조원 이상 의약품)로 결정되는 데다 플랫폼만으로는 장기적인 대규모 매출을 내기 어려워서다.

 앞서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6월 미국에서 열린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에서 가진 언론 인터뷰에서 플랫폼 사업에 이어 신약 개발 분야도 활성화돼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