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0만명당 자살자 수 26.9명…2017년 OECD 회원국의 2.1배

2021.07.04 19:52:37

 2019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인구 10만명 당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한 사람의 수(자살률)는 26.9명으로 1년 사이 0.2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인구 10만명 당 스스로 세상을 등진 이들의 수는 2011년에 최고치를 기록한 뒤 2017년까지 대체로 줄다가 2018년부터 다시 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확산한 지난해에는 다소 줄어든 것으로 추정되지만, 2∼3년 뒤에는 다시 늘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4일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발간한 '2021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2019년 우리나라의 자살자 수는 1만3천799명이다. 한 해 전보다 129명(0.9%) 늘었다.

 하루 평균 자살자 수는 37.8명으로, 전년보다 0.3명 증가했다.

 인구 10만명 당 자살자 수는 26.9명으로, 0.2명(0.9%) 증가했다.

 자살률이 가장 높던 2011년과 견주면 자살자 수는 2천107명(-13.2%), 자살률은 4.9명(-15.3%) 줄었다.

 전체 자살 사망자 중 남자가 9천730명으로 70.5%를 차지했다. 여자는 4천69명(29.5%)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 자살률은 남자(38.0명)가 여자(15.8명)보다 2.4배 높았다.

 자해·자살 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경우는 여자(2만850건, 57.4%)가 남자(1만5천486건, 42.6%)보다 1.3배 많았다.

 2019년 연령대별 자살자 수는 50대가 2천837명으로 가장 많았다.

 자살률은 80세 이상(10만명 당 67.4명), 70대(46.2명), 60대(33.7명) 순이었다.

 10대 자살률은 2017년까지 4.2∼4.9명이었으나 2018년에는 5.8명, 2019년에는 5.9명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 해 전과 비교했을 때 2019년에는 20대(9.6%), 10대(2.7%), 60대(2.5%)에서 자살률이 늘었고, 70대(-5.6%), 80세 이상(-3.4%), 30대(-2.2%), 40대(-1.5%), 50대(-0.2%)는 줄었다.

 2019년 청소년(9∼24세) 자살자 수는 876명으로, 2018년보다 49명(5.9%) 늘었다. 같은 기간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9.1명에서 9.9명으로 8.9% 증가했다.

 청소년 자살률은 2017년까지 7명대였으나 2018년 9.1명, 2019년에는 9.9명으로 증가하였다. 5년간 청소년 자살률은 연평균 8.2% 증가했다.

 지역별로 나눠 보면 경기(3천310명), 서울(2천151명), 부산(1천20명) 순으로 극단적 선택을 한 이들의 수가 많았다.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충남(29.1명), 제주(28.1명), 강원(26.4명) 순으로 높았다.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인구 구조가 서로 다른 지역별 비교에 쓰인다.

 극단적 선택은 1년 중 5월(1천274명, 9.2%)에 가장 많이 일어났다. 이어 7월과 10월(1천248명, 9.0%), 3월(1천182명, 8.6%) 순으로 많았다.

 남자는 연령대에 따라 10∼30세는 정신적 어려움, 31∼60세는 경제적 어려움, 61세 이상은 육체적 어려움을 동기로 극단적 선택을 했다.

 여자는 모든 연령대에서 정신적 어려움이 가장 많이 꼽혔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자살률(경제협력개발기구 표준인구 10만 명당 명)은 23.0명으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OECD 평균(11.2명)의 2.1배 수준이다.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자살 사망자 수는 1만3천18명(잠정치)으로, 2019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추산됐다.

 감염병, 지진, 전쟁 등 국가적 재난 시기에는 사회적 긴장, 국민적 단합 등의 영향으로 극단적 선택에 따른 사망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는 게 복지부의 설명이다.

 복지부는 또 코로나 우울 심리방역, 기초연금 인상, 재난지원금 지급 등 정책도 자살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사회 전반의 우울감은 2018년 2.34점에서 올해 3월 5.7점으로 급등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고립감이 계속된 탓이라고 복지부는 분석했다.

 복지부는 "국내외 전문가들은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사회적 영향이 본격화하는 2∼3년 이후 자살이 증가할 수 있다고 본다"고 전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ㆍ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 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 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