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개발·연구 속속 손잡는 제약업계 …"같이 합시다"…

2024.06.21 17:23:15

AI·개발 플랫폼 활용…외국 제약사와의 제휴도 증가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신약 개발 등을 위한 협업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신약 개발 비용 등 부담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에서 각자 확보한 기술 등 장점을 최대한 결합해 개발 비용과 시간은 줄이고 실패 부담도 덜자는 취지에서다.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기업 온코크로스와 AI 기반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계약을 최근 체결했다.

 JW중외제약은 온코크로스의 AI 신약 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항암 및 재생 의학 분야 신약의 신규 타깃 질환을 탐색할 계획이다.

 ADC는 항체와 약물이 링커라는 연결물질을 통해 화학적으로 결합한 형태의 항암제다.

 계약에 따라 에스티팜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의 ADC 플랫폼에 필요한 링커 일부분에 대한 위탁개발생산(CDMO)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독은 신약 개발 기업 제넥신 및 유전자 교정 기업 툴젠과 차세대 선천 면역 세포치료제를 공동 개발하는 계약을 맺었다.

 세 회사는 앞으로 선천 면역 세포 치료제 후보 물질을 발굴하고 생산 공정 개발 및 전임상 분석 협력, 공동 연구 성과에 따른 추가 임상 논의를 진행한다.

 한미약품도 바이오 벤처 아이젠사이언스와 인공지능(AI) 기반 항암제 연구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아이젠사이언스가 AI 플랫폼을 통해 항암 후보 물질을 발굴하면 한미약품이 자사 연구개발(R&D) 역량을 활용해 해당 물질의 도입 여부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협력이 이뤄진다고 회사는 전했다.

 해외 기업과의 협업도 활발하다.

 신라젠은 미국 생명공학 기업 큐리에이터와 항암제 공동 연구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PD-1 계열 면역항암제와 신라젠이 스위스 제약사 바실리아로부터 도입한 항암제 'BAL0891' 병용요법을 3D 종양 면역 미세환경 모델에서 평가한다는 계획이다.

 동아에스티도 이스라엘 바이오 기업 일레븐 테라퓨틱스와 리보핵산(RNA) 기반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들 기업은 일레븐이 보유한 플랫폼 기술 '테라'(TERA)를 활용, 섬유증 질환용 RNA 치료제 발굴에 힘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질병의 수는 많은데 개별 기업의 인력, 신약 후보 물질, 플랫폼 기술 등 자원은 한정적"이라며 "기업 간 협업은 신약 개발이라는 목표를 향한 수단이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신약 개발에 투입되는 비용 등 압박이 늘고 있는 만큼 제약업계 협업 모델은 점점 더 활성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