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 팔꿈치터널증후군 진료인원 16만명...스트레칭이 도움

 손목 비틀어 빨래 짜기, 팔 베고 엎드려 자기, 손으로 휴대전화 들고 장시간 통화하기.

 이 행동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모두 이 질환을 유발하는 자세라고 하는데요. 바로 손목터널증후군과 팔꿈치터널증후군입니다.

 둘 다 손목과 팔꿈치에 있는 '터널' 안의 신경이 눌려서 발생하는 질환인데요.

 눌리는 신경이 다르기 때문에 증상은 다르지만, 치료 방법은 비슷합니다.

 먼저 손목터널증후군은 손가락의 감각과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말초 신경(정중신경)이 손바닥 쪽 작은 통로인 손목 터널(수근관)에서 눌리면서 발생합니다.

 신경이 눌려 나타나는 질환 중 가장 흔하다고 하죠.

 손과 손목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손이 저리거나 찌릿한 통증과 함께 물건을 잡다가 힘이 없어 떨어뜨리기도 하는데요. 밤에 손이 저려서 자다가 깨는 환자들도 많다고 하고요. 심해지면 엄지손가락 힘이 약해지면서 단추를 채우는 간단한 동작조차 어려워진다고 합니다.

 국민건강보험에 따르면 지난해 손목터널증후군 진료 인원은 16만 명이 넘었습니다. 이 가운데 50∼60대가 약 58%로 비율이 가장 높았고, 남성보다 여성이 3배가량 더 많았고요.

 최윤락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대표적인 누적 손상으로 한 번의 심한 손상에 의한 것보다는 손 사용을 반복적으로 오랫동안 하면서 손목 터널 안에서 병적인 변화가 진행되고 누적돼서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팔꿈치터널증후군(척골신경압박증후군)은 팔꿈치 안에 있는 터널을 지나가는 척골신경이 눌려 발생하는 질환인데요.

 이름은 팔꿈치터널증후군이지만, 손목터널증후군과 같이 손에 저림 증상이 나타납니다.

 다만, 눌리는 신경이 다르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는 구체적인 부위 역시 상이한데요. 근전도나 초음파 검사를 통해 정확히 구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김준성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정중신경이 눌리는 손목터널증후군은 주로 엄지와 검지, 중지가 저리거나 힘이 떨어지고, 팔목터널증후군은 척골신경이 눌리기 때문에 약지와 새끼손가락 쪽이 저리거나 힘이 떨어진다"고 말했습니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이 근육이 위축될 정도로 심하게 진행되면 손의 변형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이렇게 되면 일상생활에서 젓가락질, 손톱깎이 등이 어려워질 수도 있답니다.

 손목 또는 팔꿈치 터널증후군의 치료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는 먼저 진통소염제와 같은 약물치료를 하고, 증상이 심하거나 충분한 치료를 했음에도 나아지지 않으면 수술 치료를 합니다.

 무엇보다 손목에 힘이 들어가거나 팔꿈치가 꺾인 자세를 피하고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데요.

 강성규 가천대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는 "가사노동에서 손을 쓰는 것을 좀 줄여야 하고 손목을 쓰는 업무가 있으면 힘을 덜 쓸 수 있는 방식으로 바꿔줘야 한다"며 "부득이해야 한다면 다른 업무하고 교대로 해서 한 번에 부담을 많이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했습니다.

 한편 저림 증상이 지속할 경우 목디스크나 당뇨병을 원인으로 의심해볼 수 있는데요. 이 경우에도 정확한 진단을 위해선 병원을 방문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겠죠?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간협 "통합 돌봄체계, 의료·돌봄 잇는 간호사가 중심에 서겠다"
대한간호협회(간협)가 17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2025 간호정책 선포식'을 열고 고령화와 지역사회 돌봄 수요 확대 등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간호사의 역할이 정책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신경림 간협 회장은 이날 대회사에서 "국가적 돌봄 체계 구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고, 이제는 치료 중심 의료에서 벗어나 의료·요양·지역 돌봄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통합 돌봄체계가 국가적 의무가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간협은 새로운 돌봄 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시대적 요구를 외면하지 않을 것"이라며 "간호·요양·돌봄을 아우르는 '간호사 중심 협력 거버넌스'를 통해 국가 인프라를 새롭게 설계하겠다"고 밝혔다. 간협은 의료와 돌봄을 잇는 간호사를 중심으로 하는 통합 돌봄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해 지역사회 돌봄 수요 확대에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를 통해 고령자·만성질환자·취약계층 등이 병원에 이어 지역에서도 끊김이 없는 통합 돌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 회장은 "간호계는 정부·국회·지자체·의료·요양기관과 협력해 대한민국형 통합 돌봄 모델을 실현해 나가겠다"며 "간호사의 역할을 병원에서 지역사회로 확장하고 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고혈압, 예상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뇌 기능에 영향"
고혈압은 혈압이 측정 가능할 정도로 상승하기 훨씬 전부터 뇌의 혈관과 신경세포, 백질(white matter)에 손상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혈압을 높이는 호르몬을 투여해 고혈압을 유발한 생쥐 실험에서 확인됐다. 미국 코넬대 와일코넬의대 코스탄티노 이아데콜라 교수팀은 18일 과학 저널 뉴런(Neuron)에서 생쥐에게 사람 혈압을 높이는 호르몬인 앤지오텐신Ⅱ을 투여한 결과 혈압 상승 전인 3일 만에 인지기능 저하에 관여하는 주요 세포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이런 변화는 고혈압이 왜 혈관성 인지장애나 알츠하이머병 같은 질환의 위험 요인인지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이 결과가 혈압을 낮추는 동시에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고혈압 환자는 혈압에 문제가 없는 사람에 비해 인지장애가 발생할 위험이 1.2~1.5배 높지만 그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현재 사용되는 많은 고혈압 치료제는 혈압을 낮추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뇌 기능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며 이는 혈압 상승과 관계 없이 혈관 변화 자체가 인지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생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