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식 신장 수명 다하면 재이식이 최선"

 첫 번째 이식받은 신장이 수명을 다하면 또 다른 신장을 이식받는 것이 최선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식받은 신장의 수명은 평균 10~15년이다. 이는 이식받은 신장이 환자 대부분의 경우 환자의 여생까지 버티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첫 번째 이식받은 신장이 수명을 다했을 때 선택은 신장을 다시 이식받느냐 아니면 투석을 시작하느냐 인데 어느 것이 최선인지는 지금까지 불투명했다.

 오스트리아 빈 의과대학 신장 과장 라이너 오버바우어 박사 연구팀은 이식받은 신장의 수명이 끝나면 또 다른 신장을 이식받는 것이 투석하는 것보다 유리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첫 번째 신장을 이식받은 신장이 기능을 다해 두 번째 신장 이식을 위해 신장 이식 대기자 명단에 올라간 2천300여 명의 10년간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두 번째 신장을 이식받은 사람이 신장 이식 대기자 명단에 올라가 있는 동안 투석을 시작한 사람보다 평균 수명이 5.8개월 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번째 신장을 이식받긴 했지만 이식받을 때까지 오랫동안 기다린 사람은 생존 기간 차이가 별로 크지 않았다.

 두 번째 신장을 1년 안에 이식받은 사람은 투석을 시작한 사람보다 생존 기간이 평균 8개월 길었지만 8년을 기다려 두 번째 신장을 이식받은 사람은 평균 0.1개월 더 사는 데 그쳤다.

 그렇더라도 두 번째 신장을 이식받으면 삶의 질 자체가 좋아지기 때문에 마땅한 공여자가 나타나면 늦더라도 신장을 이식받아야 할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만약 다른 나라들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두 번째 신장이식이 필요한 사람은 투석이 필요해지기 전에 서둘러서 이식 신장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신장학회 임상 저널'(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최신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젊은 암 늘자 '가임력 보존' 관심…"출산 계획 환자부터 지원"
젊은 암 환자가 많아지면서 '가임력 보존'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환자와 의사 대부분이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계획이 있는 암 치료 대상자부터 지원해야 한다는 데에도 환자와 의사 사이에 이견이 없었다. 대한가임력보존학회가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수행한 '가임력 보존 및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11~12월 가임기 여성 환자와 이들을 진료하는 의사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러한 사실이 확인됐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암 발병 연령이 낮아진 데 따라 젊은 암 환자의 완치 이후의 삶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 암을 새롭게 진단받은 20∼39세 환자는 1만9천575명에 달한다. 특히 가임력 보존은 저출생 시대 젊은 유방암 환자 등이 증가한 데 따라 관심이 커지는 분야로 꼽힌다. 학회는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병원 7곳에서 외래 진료를 받은 여성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해 조사했다. 이들 중 유방암 등을 진단받고 가임력 보존 시술을 받은 환자는 53명이었다. 우선 응답자의 83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