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AI(인공지능)로 정확히 판별…국내 개발

서울대병원 유효성 입증…"기존 고가 분석법과 동일한 결과"

 

 정확한 병기 진단과 예후 예측이 어려운 대장암을 AI(인공지능)로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서울대병원 병리과 연구팀(강경훈·배정모·유승연)은 2005∼2012년 채취한 대장암 환자 578명의 조직 슬라이드를 자체 제작한 AI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기존 고가의 대장암 병기 진단 방법에 견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AI 병리검사 모습[서울대병원 제공]

 대장암은 우리나라에서 발생률 2위, 사망률 3위를 차지하는 암이다.

 보통 암 환자의 치료 계획은 종양 크기 및 임파선·원격 전이 여부 등에 기반한 병기(TNM)를 기준으로 수립한다. 병기가 조기이면 수술 후 추적 관찰하고, 그보다 진행된 병기는 수술 후 항암치료를 추가한다. 암이 많이 진행된 상태여서 수술로 효과가 없다고 판단되면 항암치료 위주로 진행한다. 이처럼 병기 진단이 중요한 건 수술 후 환자의 5년 생존율을 잘 반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장암은 병기만으로 예후가 명확히 예측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심지어 2기로 판정된 환자가 3기보다 더 나쁜 경과를 보일 때도 있다. 이런 이유로 요즘은 환자의 전체 유전자 발현 양상을 파악해 대장암 병기를 분류하는 'CMS 기법'이 쓰이고 있지만, 값비싼 게 단점으로 지적된다.

 연구팀은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AI 진단을 고안했다. 환자의 조직 슬라이드를 스캔해 디지털 이미지로 만든 다음 종양 조직 내 면역세포 침윤 및 섬유화 정도에 따라 대장암을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AI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연구팀은 이 진단기술을 대장암 환자에 적용한 결과, 기존 CMS 기법과 병기 및 예후 분류가 동일했다고 설명했다. 2007∼2012년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또 다른 대장암 환자 283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에서도 이런 유효성이 관찰됐다.

 배정모 교수는 "새로 개발한 AI 분류법으로 기존 CMS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는 것은 조직병리 이미지에 대한 AI 기반 분석이 유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기존에 알려진 예후 인자들과 함께 진단에 활용하면 재발 위험성이 높은 대장암 환자를 보다 잘 찾아내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임상암연구'(Clinical Cancer Research) 최신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에 비상진료체계 2년째…올해 지속시 건보적자 1.7조↑
의정 갈등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정부가 2년째 가동하고 있는 비상진료체계가 올해도 계속될 경우 건강보험 누적 적자액이 대폭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6일 국회예산정책처가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실에 제출한 '건강보험 재정 전망'에 따르면, 정부가 작년 2월부터 가동 중인 비상진료체계를 올해 말까지 유지할 경우 건강보험 누적 적자액이 1조7천억원 늘어난다. 이는 비상진료체계를 작년 말에 종료했다고 가정한 추계값과 비교한 결과다. 비상진료체계는 보건의료 위기 시 중증·응급환자 진료 등을 독려하기 위해 정부가 건강보험 재정을 이용해 의료기관을 지원하는 제도다. 보건복지부는 작년 2월 의료개혁 4대 과제와 의대 정원 2천명 증원 계획 발표 후 전공의가 집단 사직하는 등 의정 갈등이 본격화하자,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 최상위 단계인 '심각'을 발령했다. 이와 함께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해 일부 진료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를 한시적으로 인상하고, 수련병원에 건보 급여를 선지급하는 등 매달 2천억원 안팎의 건보 재정을 투입했다. 정부는 비상진료체계를 위기경보 심각 단계 해지 시까지 가동할 계획이다. 정부가 작년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비상진료 건강보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담도암 조기 진단 가능성 높였다…대규모 유전체 확보
국내 연구진이 담도암 발병 과정을 알 수 있는 대규모 유전체를 확보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 의대 박영년·김상우 교수 연구팀이 담도암의 전암 병변(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병변)으로부터 침윤성 담도암(1기 이상의 암)에 이르기까지 대규모의 유전체(생명체의 모든 유전정보)와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 변화과정을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담도와 쓸개에서 발생하는 담도암은 5년 내 환자 10명 중 7명이 사망할 정도로 치명적이지만,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발견하기 어렵다. 암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 변이에 대한 연구도 드물어 조기 진단과 항암 표적 치료도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팀은 담도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병변으로 알려진 담도계 유두상 종양에 주목, 이 부위로부터 암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유전자 발현 이상이 암 발생에 관여함을 밝혀냈다. 유두상 종양과 담도암으로 진단된 환자 166명의 조직을 대상으로 전암 병변 부위와 주변으로 침윤해 들어가는 암종 부위를 분리, 대규모 '전장 엑솜 염기서열분석'(인간의 전체 유전체 중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하는 엑손 부위 분석)을 진행했다. 이 중 담도계 유두상 종양이 담도암으로 발전된 41명 환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