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백신시장, 2029년 2조원 시대 연다

  • 등록 2025.11.04 13:31:01
크게보기

연평균 9.5% 성장…글로벌 평균 넘는 속도
KHIDI 기고문 "필수 백신 국산화·글로벌 진출 전략 시급"

 국내 백신 시장이 연평균 9.5% 성장하며 4년후 2조원대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4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범부처방역연계감염병연구개발재단 김성순 본부장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 기고문에서 마켓앤드마켓 보고서를 인용, "코로나19 백신을 제외한 국내 백신 시장은 2023년 8억7천만 달러(약 1조2천438억원) 규모로 글로벌 백신 시장의 약 1.7%를 차지하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의 평균 성장률(8.7%)보다 높은 연평균 9.5%로 성장해 2029년에는 14억9천만달러(약 2조1천291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2024년 기준 국내 백신 생산, 수출, 수입액은 2019년 대비 약 74~76% 증가해 팬데믹 효과가 안정화된 이후에도 팬데믹 이전과 비교해 국내 백신 산업 규모가 큰 폭으로 성장했음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김 본부장은 국내 백신 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보건 안보와 경제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본부장은 "필수 백신 개발에 있어서 장애 요소인 안정적인 항원 확보, 임상시험의 어려움, 낮은 수익성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 정부의 흔들림 없는 지원이 지속적으로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유바이오로직스의 콜레라 백신, LG화학의 소아마비 백신 개발 성공 사례는 글로벌 시장의 수요-공급 상황을 분석하고 국제기구들과의 긴밀한 공조를 이루어 가는 것이 필수 백신의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주요 전략임을 제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중저소득국 중심의 수출 구조를 개선할 수 있도록 선진국 시장 진출 전략과 고부가 가치 백신 개발 전략을 함께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그는 "현재 사노피와 공동개발하고 있는 SK바이오사이언스의 폐렴구균 백신이 개발에 성공하면 선진국 백신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는 사례가 될 것"이라며 "기술력을 갖춘 국내 백신 기업과 글로벌 기업 간 기술 협력도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휴먼메디저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941, 2층 101호(영화동 동성영화타운) 발행인 : 김상묵 | 편집인 : 김상묵 | 전화번호 : 031-253-6000 등록번호 : 경기,아52363 등록 연월일 : 2019.10.25 발행연월일 : 2019.10.26 Copyright HUMANMED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