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암 환자에서 암으로 인한 사망뿐 아니라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위험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토론토대 스리니바스 라만 박사팀은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의 암 전문학술지 BMJ 종양학(BMJ Oncology)에서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암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2편을 메타 분석해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상호 연관된 생물학적, 심리적, 행동적 기전을 통해 암 환자의 사망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암 치료 과정에 심리사회적 평가와 표적화된 개입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전 세계적으로 암의 새로운 발병 건수는 2050년까지 연간 3천500만 건, 암 관련 사망자는 1,8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팀은 암 환자는 치료 과정에서 외로움과 정서적 고립감을 자주 경험하며, 외로움이 우울, 면역 저하, 염증 반응 등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암 환자의 생존율에도 영향을 주는지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데이터베이스(MEDLINE, Embase, PsycINFO)에
국내 혈액종양내과 전문의 4명 중 3명이 암 환자에게 완화의료 서비스를 더 빨리 제공해야 한다고 답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문 완화의료란 암 치료 과정에서 환자가 겪는 고통을 줄이기 위해 주치의가 완화의료팀에 의뢰, 포괄적 지원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통증을 줄이기 위한 처방 외에도 예후 치료와 돌봄 계획을 짜는 것, 심리적·영적 관리, 사회경제적 관리 등이 모두 포함된다. 서울대학교병원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유신혜 교수와 대한종양내과학회 연구팀이 지난해 국내 혈액종양내과 전문의 227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한 결과를 최근 공개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74.9%가 암 치료와 전문 완화의료의 조기 통합에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전돌봄계획 수립(97.8%), 호스피스 연계(97.4%), 생애 말기 임종 돌봄(96.5%) 등에서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실제 완화의료 의뢰는 주로 예후가 악화된 말기에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0.0%가 '암 진행·치료 중단·임종 직전 시기에 이르러서야 완화의료에 의뢰한다'고 답변했다. 조기 통합의 가장 큰 장애 요인은 환자와 가족의 거부감(70.0%) 치료 포기처럼 보일 것에
일회성의 짧은 소아 전신마취는 단기적으로 아이의 지능이나 행동 발달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병원 소아마취통증의학과 이지현·지상환 교수 연구팀이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생후 2세 미만 소아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이 같은 임상 연구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현재 소아 수술이나 시술에서 전신마취 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흡입 마취제를 이용하는 것이다. 3세 미만 영유아가 3시간 이상 혹은 반복적으로 전신마취를 받을 경우 뇌 발달에 해로울 수 있다고 알려졌지만, 짧은 전신마취의 경우 해당 연령대에도 시행된다. 다만 부모들은 마취로 인해 뇌 발달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걱정하는 경우가 많다. 연구진은 흡입마취제 사용에 따른 발달 영향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약 2시간 이내의 짧은 수술을 1회 받은 생후 2세 미만의 환자 400명을 무작위로 선정했다. 이후 이들을 흡입마취제(세보플루란)만 사용한 단독군과, 흡입마취제 농도는 30%가량 줄이고 대신 진정제인 덱스메데토미딘과 진통제 레미펜타닐을 함께 투여한 병용군으로 분류했다. 두 그룹의 평균 마취 시간은 약 75분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후 이 환자들이 만 28∼30개월이 됐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