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

전체기사 보기

폐철도 활용 국내 최장 '치악산바람길숲' 11.3㎞ 전 구간 개통

원주시는 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한 도시숲 조성 사업인 '치악산 바람길숲' 전 구간을 18일 전면 개통했다. 치악산의 맑고 신선한 바람이 도심을 따라 흐르는 특색 있는 숲 조성을 목표로, 중앙선 폐철도를 바람길숲으로 재탄생시켰다. 치악산 바람길숲은 우산동을 시작으로 반곡관설동까지 도심 6개 동을 통과하는 총 11.3㎞ 길이의 폐철도를 활용한 국내 최장 도시 숲이다. 앞으로 원주의 대표적인 명소로 자리 잡아 도심 열섬현상 완화와 미세먼지 저감은 물론, 구도심 지역 활성화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2020년 산림청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된 후 설계와 주민설명회, 국가철도공단과의 협약 체결 등 각종 행정절차를 거쳐 2024년 12월 1단계 개통을 진행했다. 올해 들어 원주센트럴파크(옛 원주역) 조성과 우산철교 리모델링(보행교) 사업을 완료하며 전 구간 개통을 마쳤다. 주요 공간으로는 보행 전용 공간으로 리모델링해 도심 녹지 축을 연결하는 우산철교, 옛 원주역을 리모델링해 휴식 공간을 조성한 센트럴파크, 대왕참나무와 수국길이 있다. 또 중앙동 4개 전통시장과 연계한 중앙광장, 큰나무 쉼터를 조성한 봉산정원, 보리밭 은하수 조명을 사용한 원주터널, 다목적

옷 사면 스트레스 풀릴까…신간 '중독은 뇌를 어떻게 바꾸는가'

"그 모든 중독성 마약도 스스로 끊었는데 왜 담배는 끊기가 어려울까요?" 마약 중독을 극복한 이들이 고작 담배를 끊지 못해서 전문가를 찾아오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중독이 야기하는 결과의 차이에서 그 이유를 살펴볼 수 있다. 코카인, 헤로인, 알코올 등에 중독되면 가정, 직장, 건강과 관련된 문제가 매우 심각해진다. 중독자 중 일부는 부작용이 즐거움(보상)을 압도한 것을 마약에서 벗어나는 계기로 삼는다. 술이나 코카인과 달리 담배는 부작용이 즉시 강력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더 끊기가 어렵다. 니코틴은 흥분제이므로 술처럼 인지 능력을 바로 둔화시키지 않는다. 운전 중이나 중장비를 조작하면서 담배를 피운다고 제재받지 않는 것은 이 때문이다. 담배는 원하면 언제든 피울 수 있으며 흡연했다고 해고당하지도 않는다. 술이나 헤로인에 취해서 출근한다고 가정해보면 그 차이가 분명할 것이다. 흡연은 예방할 수 있는 질병을 유발하거나 사람이 사망하게 하는 주요 원인이지만 담배를 피운다고 곧바로 죽는 것 은 아니다. 저명한 중독 심리학자인 저드슨 브루어 미국 브라운대 공중보건대학원 교수는 니코틴의 이런 여러 특성 때문에 강력한 '악마'와 싸워

식품표시 더 잘 보이게 글자 키운다…빠진 정보는 푸드QR에

식품의 제품명, 소비기한,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 중요 정보는 포장지에 크고 잘 보이게 표시하고, 나머지 정보는 푸드QR 등 e라벨로 제공하게 된다. 식약처는 30일 이런 내용의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과 세부 표시방법을 담은 하위 고시를 개정·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을 통해 푸드QR에는 식품유형, 용기·포장재질, 보관방법 표시정보 외에도 일부 영양성분 또는 원재료명, 업소 소재지 등의 식품 정보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표시 공간이 확보되면서 소비자 안전과 직결돼 제품에 표시해야 하는 제품명, 소비기한, 22종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 등 중요 정보는 글씨를 10포인트에서 12포인트로 크게 표시해야 한다. 하위 고시에서는 QR코드를 주 표시면이나 원재료명 표시란 근처에 표시하고, 제품 포장지에는 많이 사용한 원재료 3개와 식품첨가물 주 용도를 3개 이상 표시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또 모든 영양성분 정보를 푸드QR로 제공하면 열량, 나트륨, 당류 및 트랜스지방은 반드시 제품 포장지에 표시하도록 했다. 이외에도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정한 기타표시사항 중 소비자 안전, 보관·취급과 관련된 중요 정보는 제품 포장지에 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