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기사제보
문의하기
회원가입
로그인
2025.10.21
(화)
동두천 15.1℃
흐림
강릉 15.7℃
흐림
서울 16.5℃
흐림
대전 19.4℃
흐림
대구 19.1℃
흐림
울산 19.5℃
흐림
광주 22.1℃
흐림
부산 21.7℃
흐림
고창 23.2℃
구름많음
제주 26.3℃
맑음
강화 15.4℃
흐림
보은 18.0℃
흐림
금산 19.7℃
구름많음
강진군 23.0℃
흐림
경주시 18.6℃
흐림
거제 21.8℃
흐림
기상청 제공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검색하기
메뉴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닫기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관련협회
홈
반려동물
관련협회
이전
1
다음
많이 본 기사
1
'75세 넘은 노인, 정상 혈압수치 밑돌면 사망 위험↑"
2
[명의에게 묻다] 폐에 2㎝ 넘는 덩어리 '간유리 결절'…절반은 폐암 위험
3
·코로나19 무력화하는 항체 찾아…백신 개발에 기여 기대
4
보험업계 "내년 실손보험 인상률 평균 8.9%"
5
국민 65% "일상생활 재개하면 코로나19 감염위험 커질 것"
6
"이식 신장 수명 다하면 재이식이 최선"
7
중국 외 국가에서는 왜 신종코로나 사망자 드물까?
8
손목, 팔꿈치터널증후군 진료인원 16만명...스트레칭이 도움
9
대장암 AI(인공지능)로 정확히 판별…국내 개발
10
"췌장 베타 세포 '칼슘 채널' 당뇨병 유발 메커니즘 찾아내"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외국인 건보 진료비 5년새 68% 증가…의원급에서는 '2배'
외국인들의 국내 건강보험 진료비가 최근 5년 사이 70% 가까이 늘어 지난해 1조6천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국인 건강보험 진료비의 경우 절대액으로는 60배 수준으로 많지만, 그 증가 폭(36%)은 절반 수준이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의원이 최근 강보험심사평가원과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건강보험 진료비 총액은 2019년 9천482억1천만원에서 지난해 1조5천928억3천만원으로 68% 급증했다. 올해 들어 8월까지의 진료비는 1조1천281억원으로, 단순 계산 시 올해도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같은 기간 외국인 환자 수는 323만9천383명에서 415만6천101명으로 28.3% 늘었다. 병원 종별로 보면 상급종합병원을 비롯한 병원급 의료기관(치과·한방병원 포함)에서의 외국인 진료비는 6천151억원에서 9천464억1천만원으로 53.9% 늘었다. 지난해 기준으로 병원급 의료기관 진료과목 가운데 내과 진료비(2천984억2천만원)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외과(1천42억8천만원), 정형외과(996억2천만원), 산부인과(946억3천만원), 신경외과(657억4천만원) 순이었다. 의원급 의료기관의 진료비 증가 폭은 더 컸다. 의
의협, 의료기사 업무 범위 확대한 법 개정안에 "국민 생명 위협"
정부, 국립대병원 본격 육성한다…현장 직접 찾아 지원안 설명
"녹내장 등 '실명 유발 3대 안질환' 5년간 1.4배 증가"
통합돌봄 인프라 지역 격차…울산·창원 재택의료센터 0곳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아토피 아동, 라면·햄버거 등 먹으면 가려움 최대 2배로 증가"
아토피피부염을 앓는 아동이 도넛, 케이크, 햄 등 간식과 가공식품을 자주 섭취하면 장내 미생물 환경이 변화하고 실제 가려움증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들은 한식 위주로 먹는 아토피피부염 아동보다 약 2배 수준의 가려움증을 호소했다. 정민영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와 김혜미 부산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임치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산업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3∼6세 미취학 아동 75명(아토피피부염 24명·건강한 아동 51명)의 식이 형태와 장내 미생물 환경, 아토피피부염 증상 등을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을 식이 형태에 따라 집에서 흔히 먹는 밥과 국, 찌개, 반찬 등 '한식 위주의 식단'과 도넛, 케이크, 라면, 피자, 햄버거 등 '간식 중심 식단'으로 나눴다. 아동들의 식이 형태와 선호는 식품섭취빈도조사(Food Frequency Questionnaire)를 바탕으로 보호자가 작성한 내용과 부모가 기억해서 적어 낸 아동이 24시간 내 먹은 음식 등으로 평가됐다. 연구 결과 한식 위주로 먹는 아동은 가려움증이 수면을 방해하는 정도가 1.75점 수준이었지만, 간식 중심 식단 아동의 경우 3.5점으로 2배
"신체활동 늘수록 칼로리 소비도 증가…열량 상쇄·보상 없어"
망막에 칩 이식해 시력 회복…유럽서 임상 시험 성공
당뇨병·우울·저체중이 '경도인지장애→치매' 위험 키운다
셀트리온, 미국서 유플라이마 소아 적응증 추가 획득
메디칼산업
더보기
18년된 MRI로 암 진단?…"국립암센터 의료장비 53% 노후화"
국립암센터에서 보유한 의료장비 절반 이상이 사용 가능 기간을 넘기는 등 노후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지아 의원이 최근 국립암센터에서 제출받은 '의료장비 노후 현황'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구비하고 있는 의료장비 1천169개 중 618개(53%)가 조달청 내용연수(耐用年數·설비 등의 사용 가능 기간)를 초과했다. 618개 중 부품의 단종 등으로 수리가 어려운 내용연수 초과 5년 이상인 의료장비가 426개(69%)에 달했다. 내용연수 초과 10년 이상인 의료장비는 173개였고, 15년 이상인 것도 83개에 달했다. 영상 진단, 일반 검사, 환자 처치 등에 쓰는 진료 필수 장비 871개 중에서도 463개(53%)가 노후화했다. 110개는 교체가 필요한 상황이다. 장비별로 보면 수술실, 중환자실 등에서 환자를 직접적으로 처치할 쓰는 장비 538개 중 327개(61%)가 사용 가능 기간을 초과했다. 교체 필요 수량은 72개다. 혈액, 소변 등을 검사하는 장비는 169개 중 89개(53%), 영상 진단 장비는 164개 중 47개(29%)가 각각 노후화했다. 교체 필요 수량은 35개, 3개다. 현재 국립암센터는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장비 5
서울아산병원, 2030 암환자 운동모임 '마이 호프' 모집
알피바이오, 최대 12시간 지속 방출 정제 특허
GC녹십자엠에스, 개인용 혈당측정기 신제품 출시
JW중외 A형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 WHO 필수약 목록 등재
오늘의 일정
더보기
[오늘의 주요 일정](21일·화)
[오늘의 증시일정](21일)
[주요 신문 사설](21일 조간)
[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21일 조간)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