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산업

전체기사 보기

질병청, 팬데믹 대비 국산 mRNA 백신 개발 지원 설명회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19일 '감염병 백신 개발 임상 지원 설명회'를 열고 미래 팬데믹에 대비한 국산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 지원 및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이번 설명회에서 산·학·연·병 및 임상 전문가를 대상으로 팬데믹 발생 시 mRNA 기술을 활용한 백신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는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에 대해 설명했다. mRNA 백신은 바이러스의 유전정보가 담긴 mRNA를 활용해 개발된 백신이다. 화이자와 모더나 등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이 대표적인 mRNA 백신이다. mRNA 기술을 토대로 만들어진 백신은 개발이 까다로운 대신, 만들어두면 바이러스의 유전정보만 갈아 끼워 넣는 식으로 변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날 설명회에선 감염병 백신 임상시험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전략을 공유하고, 현재 국립보건연구원과 국제백신연구소 등이 참여하고 있는 임상시험 검체 분석기관 네트워크에 관해서도 소개했다. 이 밖에 감염병 백신과 치료제 임상시험 수행을 위해 중앙과 지역의 감염병 전문병원을 중심으로 형성된 네트워크 운영 방안 등도 논의됐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이번 소통이 대한민국 보건 안보와

튀니지 최초 로봇수술, 한국산 장비로 실시

북아프리카 튀니지 최초의 로봇수술이 한국산 장비로 이뤄졌다. 주튀니지 한국대사관 등에 따르면 지난 11일 수도 튀니스 샤를니콜 병원에서 한국 미래컴퍼니의 수술로봇 레보아이(Revo-i)를 이용한 38세 여성 환자의 담낭 제거 수술이 실시됐다. 수술을 집도한 람지 누이라 박사는 "로봇 팔이 환자의 수술 부위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해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며 "수술은 45분 소요됐으며 결과가 성공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술 준비를 위해 튀니지 의료진이 한국에서 훈련받았고 한국 의료지원팀도 장비 설치와 의료진 훈련을 위해 튀니지를 방문했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미래컴퍼니는 최근 튀니지 보건 당국과 레보아이 공급 계약을 체결, 모로코에 이어 두 번째 아프리카 진출국을 확보했다. 특히 이번 로봇수술은 튀니지 최초이자 레보아이를 먼저 수출한 모로코에서 아직 수술이 시행되지 않아 아프리카 대륙에서 국산 장비를 이용한 첫 로봇수술 사례라고 대사관 측은 강조했다. 튀니지는 북아프리카에서 의료 인프라가 가장 잘 갖춰진 나라 중 하나다. 연간 외국인 환자가 외래 200만명, 입원 50만명에 달할 정도로 알제리, 리비아 등 주변국과 프랑스어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