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는 경기 김포시 ㈜삼흥인삼이 포장·판매한 국내산 오미자에서 잔류농약(클로르피리포스)이 기준치(0.01㎎/㎏) 보다 초과 검출돼 해당 제품을 판매 중단하고 회수 조치한다고 6일 밝혔다. 클로르피리포스는 해충 방제에 사용되는 살충제이다. 회수 대상은 포장일이 '2025. 6. 10.'로 표시된 제품이다. 식약처는 경기 김포시에 해당 제품을 신속히 회수 조치하도록 했다.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에게는 섭취를 중단하고 구입처에 반품해 달라고 당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수험생 영양제', 'ADHD 치료제' 등 표현으로 식·의약품을 광고·판매하는 온라인 게시물을 점검해 위반 행위 773건을 적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학부모와 수험생의 불안한 심리를 이용한 부당광고·불법유통으로부터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실시됐다.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수험생 영양제', '기억력', '집중력', '긴장 완화' 등 표현으로 부당광고한 온라인 게시물은 45건 적발됐다. 주요 위반 내용은 '성인 ADHD 집중력 영양제' 등 질병 예방·치료 효능이 있는 것처럼 표현한 광고 3건(6.7%), 일반식품을 '수험생 영양제' 등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혼동하게 하는 광고 13건(28.9%), '기억력 개선'(향상) 등 인정하지 않은 기능성을 내세운 거짓·과장 광고 29건(64.4%) 등이다. 또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에 사용하는 '메틸페니데이트' 제품 등을 온라인에서 불법 판매하거나 알선·광고한 온라인 게시물 728건도 적발됐다. 온라인상 불법판매, 알선, 광고 제품은 출처가 불분명할 뿐만 아니라 위조 의약품일 가능성이 커 절대 구매하면 안 된다. 특히 메틸페니데이트 제품은
우린 작은 생명들을 미물(微物)이라 부르며 하찮게 여기기 일쑤다. 하지만 몇몇 뛰어난 이들은 이런 미물의 재능을 알아보고, 감탄하며 연구에 평생을 쏟아붓기도 한다. 저명한 로스차일드 가문의 금지옥엽 미리엄 로스차일드(1908~2005) 같은 박물학자가 그랬다. 그는 벼룩을 '날아다니는 곤충'이라 표현하며 연구에 매진했다. 억만장자 박물학자를 사로잡은 건 벼룩의 탁월한 점프 능력이었다. 가령 고양이벼룩은 몸길이가 보통 1.5밀리미터(㎜)에 불과하지만 자기 키의 50배를 점프한다. 또 어떤 벼룩은 휴식 없이 3만번이나 점프할 수 있다. 튀어 오를 때의 가속도는 지구 대기권으로 재진입하는 로켓의 20배에 달한다. 미국 카네기멜런대 기계공학과의 세라 버그브레이터 교수는 이런 벼룩의 놀라운 특성을 소형 로봇 개발에 적용했다. 그 결과 30㎝를 점프할 수 있는 소형 로봇을 개발할 수 있었다. 몇 밀리미터 크기에 불과한 이 로봇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저비용으로 무언가를 감지하거나 감시할 수 있고, 자연재해가 일어난 뒤 조심스럽게 잔해를 뒤져가며 수색 작업을 벌일 수도 있다고 한다. 자연에서 얻은 지혜를 실생활에 적용한 예라 할 수 있다. 최근 출간된 '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