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의 질, 부정맥과 관계있다"

 심장 박동이 너무 빠르거나 느리고 고르지 않은 부정맥(arrhythmia)은 수면의 질과 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툴레인(Tulane) 대학 공중보건·열대의학대학의 치루(Lu Qi) 역학 교수 연구팀은 수면 건강이 비정상인 사람은 정상인 사람에 비해 부정맥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처음엔 부정맥이 없었던 40만3천18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의 조사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하루 7~8시간 자고 불면증이 없고 코를 골고 자면서 간헐적으로 호흡이 끊기는 수면무호흡증이 없고 낮에 졸리지 않는 등 수면 건강이 정상인 사람은 심방세동, 서맥 같은 부정맥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짧은 수면시간, 불면증, 수면무호흡증, 낮의 졸림 등 하나하나가 부정맥 위험과 연관이 있었다.

 이러한 것들이 겹칠수록 그리고 정도가 심할수록 부정맥 위험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그 이유는 자율신경의 혼란, 대사활동의 변화, 미주신경 유출(vagal outflow) 때문으로 생각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전체 조사대상자들을 연령, 성별, 체중, 흡연, 음주, 운동 등의 조건별로 소그룹으로 나누어 보았지만 이러한 연관성에는 변함이 없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심방세동은 심장의 윗부분인 심방이 이따금 매우 빠른 속도로 수축, 마치 그릇에 담긴 젤라틴처럼 가늘게 떠는 상태가 되면서 심박수가 급상승하는 현상이다.

 당장 생명에 위협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잦을수록 뇌졸중 위험이 커진다. 증상은 가슴 두근거림(심계항진), 호흡곤란, 무력감의 형태로 나타나며 심하면 실신하기도 한다.

 서맥(bradyarrhythmia)은 맥박수가 분당 40회 이하로 지나치게 떨어지는 것으로 어지럼증, 심한 무기력증, 졸도 현상이 나타난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학회 저널(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건보 급여 확대 청신호…"적정성 인정"
대표적인 면역항암제 '키트루다'가 건강보험 급여 적용 확대에 한 발 더 다가섰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 4일 약제급여평가위원회(약평위)를 열고 키트루다에 대한 급여 범위 확대에 적정성이 있다고 인정했다. 이날 급여 확대가 심의된 적응증은 위 또는 위식도접합부 선암, 식도암, 자궁내막암, 직결장암,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자궁경부암, 삼중음성 유방암, 소장암, 담도암 등이다. 이에 따라 키트루다는 앞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과의 약가 협상,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급여 적용 확대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키트루다는 미국 제약사 MSD(머크)가 개발한 면역항암제로, 2023년 전 세계 매출 1위 의약품에 오르기도 한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다. 면역항암제는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기존 항암제와 달리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방식의 항암제다. 키트루다는 2014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우리나라에서도 2015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았다. 최초 허가받은 적응증은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흑색종으로, 이후 적응증이 확대돼 16개 암에서 총 34개의 적응증이 승인됐다. 그러나 이 가운데 비소세포폐암, 호지킨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