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 독성 단백질 분해하는 면역세포 '분업 시스템' 발견

소교세포 네트워크 내에서 제거 대상 알파-시누클레인 분배
돌연변이로 시스템 고장 나면 파킨슨병·치매 등 유발
독일 본 대학 등 연구진, 저널 '셀'에 논문

 뇌에 풍부한 알파-시누클레인(약칭 aSyn) 단백질은 뉴런(신경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파-시누클레인은 뇌의 시냅스전 말단, 즉 신경세포 끝에서 인지질이나 단백질과 상호 작용한다.

 뇌에서 뉴런 사이의 신호 전달은 신경 전달 물질에 의해 이뤄지는데, 이런 물질을 방출하는 게 바로 시냅스전 말단의 시냅스 소포(synaptic vesicle)다.

 14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알파-시누클레인은 정상일 때 응집(aggregation)에 저항하며, 안정적으로 접힌 사량체(tetramer) 형태를 띤다. 사량체는 4개의 단량체로 구성된 저중합체를 말한다.

 그런데 돌연변이 등 특정한 조건 아래에서는 알파-시누클레인이 불용성 원섬유(fibrils)로 뭉쳐 뉴런을 손상한다.

 이런 독성 원섬유는 특히 파킨슨병이나 루이 소체(Lewy body) 치매 환자의 뇌에서 많이 발견된다.

 독일 본 대학 등의 과학자들이 공동 연구를 통해,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이 뇌에서 독성 원섬유로 응집하는 이유를 밝혀냈다.

 원인은 독성 단백질을 신속히 분해하는 면역세포 네트워크가 고장 나는 것이었다.

 이 연구엔 본 대학 외에 '독일 신경퇴행 질환 센터(DZNE)'와 프랑스의 프랑수아 자코브 연구소 등의 과학자들이 참여했다.

 관련 논문은 22일(현지 시각) 저널 '셀(Cell)'에 실렸다.

연구를 이끈 본대학의 미하엘 헤네카 교수

 뇌의 대표적 면역세포인 소교세포(microglial cells)는 원래 단백질이 잘못 접혀 생긴 원섬유를 분해해 제거한다.

 그런데 소교세포가 이런 일을 하는 덴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러다 보니 일하다 지친 소교세포가 되레 사멸하는 일도 생긴다.

 이번 발견은 핵심은, 소교세포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종의 '분업(division of labor)' 메커니즘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소교세포는 튜브 같이 생긴 돌기로 다른 인접 소교세포들과 결합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독성 알파-시누클레인 응집은 이 네트워크 내에서 적절히 분산돼 효과적으로 제거됐다.

 전체 소교세포의 작업 속도를 올리면서, 너무 많은 일이 쏠린 소교세포가 과로사하는 걸 막는 시스템인 셈이다.

 뇌의 소교세포가 독성 단백질 섬유를 제거하는 데 이런 메커니즘을 쓴다는 건 처음 밝혀졌다.

소교세포의 튜브형 돌기는 다른 중요한 용도로도 쓰였다.

 어떤 소교세포가 지쳐 죽을 위험에 처하면 이 돌기를 통해 미토콘드리아를 전달,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실제로 파킨슨병 환자에게 많이 발견되는 돌연변이 중 일부는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 또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루이 소체 치매 환자의 뇌에서 알파-시누클레인 응집이 잘 분해되지 않는 것도, 소교세포 네트워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었다.

 연구팀은 환자 본인의 혈액 샘플에서 대식세포(macrophages)를 분리한 뒤 신호 조절 물질을 써서 소교세포와 비슷한 면역세포로 변하게 유도했다.

 이런 유사 소교세포도 네트워크를 형성하긴 했다.

 하지만 그 안에서 알파-시누클레인 원섬유를 이동시켜 분배하는 기능은 심하게 손상돼 있었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본 대학의 미하엘 헤네카 교수는 "소교세포의 이런 메커니즘은 처음 발견된  것"이라면서 "앞으로 여러 해 동안 연구자들이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가 신경퇴행 질환의 치료제 개발로 이어지리라는 기대감도 크다.

 특히 파킨슨병이나 치매의 경우 중기적으로도 새로운 치료적 관점이 제시될 거로 연구팀은 전망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