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계 질환 발생 가능성 '지방간 지표'로 확인 가능

지방간 그룹, 정상 그룹 대비 2.56배 심혈관계 질환 위험

 개인의 생체정보를 대입해 산출한 지방간 지표(fatty liver index : FLI)로 향후 10년간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용제 교수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가정의학과 정태하 교수 연구팀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세브란스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30∼69세 남녀 7천240명의 생체정보를 활용·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의 ▲ 혈액 내 중성지방 ▲ 체내 효소 중 하나인 감마지티 수치 ▲ 체질량(BMI) 지수 ▲ 허리둘레를 수식에 대입해 지방간 지표를 산출한 뒤 정상그룹(30점 미만 : 3천856명), 중간그룹(30∼59점 : 1천955명), 지방간 그룹(60점 이상 : 1천429명)으로 분류했다.

 이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프래밍엄 위험지수(Framingham Risk Score) 측정법에 지방간 지표를 대입해 향후 10년 사이에 발생 가능성을 살폈다. 프래밍엄 위험지수가 10% 이상을 보이면 심혈관질환 발생 고위험군으로 정의했다.

 그 결과 각 집단이 가진 변수를 조정하지 않은 상태로 단순 비교했을 때 지방간 그룹의 향후 10년 내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위험은 정상 그룹의 3.43배였다.

 각 그룹의 외부 변수를 보정해 대입하더라도 지방간 그룹은 정상 그룹과 비교해 향후 10년 내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2.56배에 달했다.

 이 교수는 "1차 진료 현장에서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지방간 관련 인자를 이용해 지방간 지표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10년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를 확인할 수 있다"며 "이를 활용하면 조기에 지방간을 발견하고 관리해 향후 심혈관질환 발생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위장 및 간 질환 저널'(Journal of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s)에 게재됐다.

 [표] 지방간 지표에 따른 그룹별 향후 10년 심혈관계 질환 발생률

 

지방간 지표(Fatty liver index : FLI)
  FLI(<30) FLI(30-59) FLI(≥60)
변수 조정 전 1.00 (reference) 2.62 (2.32-2.95) 3.43 (3.01-3.91)
변수 조정 후 1.00 (reference) 1.60 (1.28-2.00) 2.56 (1.97-3.3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병상 4개→1천개…서울행 환자 발길 돌린 지역 2차병원 비결은
"의료대란으로 대학병원 중환자실 병상이 20∼30개 가동되던 때 우리는 60개씩 돌리면서 24시간 전문의가 환자를 돌봤습니다. 우리 식구들 정말 고생 많이 했어요." 경남 창원시의 창원한마음병원을 운영하는 하충식 한마음국제의료재단 의장은 지난 20일 병원을 찾은 취재진에게 외과계 집중치료실을 안내하며 이렇게 회상했다. "우리 병원장님은 나라에서 손꼽히는 소화기내과 명의이신데, 제가 좋은 선생님들 모시려고 참 간절하게 노력했어요. 또 '최고'가 되고 싶어서 손해를 감수하고 지역 최초 고압산소치료실 설치 등을 추진했습니다. 덕분에 감사하게도 많은 시·도민들이 수도권으로 '원정 진료'를 가는 대신 우리 병원을 찾으세요." '의료계의 손정의(일본 소프트뱅크 회장)'로도 불리는 그는 병상 4개로 문을 열었던 자그마한 산부인과 의원을 27년 만에 1천8병상 규모의 지역 중추 종합병원으로 키워냈다. 경남도청에 따르면 창원한마음병원은 지난해 도내에서 가장 많은 응급환자를 수용했다. 지난해 늘린 중환자실 병상은 총 61개로 도내 2차 의료기관 중 최대 규모다. 치료한 환자 중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KTAS) 1∼3등급에 해당하는 '중증'환자 비율은 74%에 이른다. 고난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KAIST, 사용할수록 더 강해지는 인체 뼈 닮은 신소재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강성훈 교수 연구팀이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조지아 공과대학 연구팀과 공동으로 인체 뼈의 원리를 모사해 사용할수록 오히려 더 강해지는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아파트 건물, 차량 등을 구성하는 재료는 반복적으로 하중을 받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능이 저하된다. 한미 공동 연구팀은 우리 몸속 뼈가 하중을 받으면 세포 작용으로 미네랄을 합성해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원리에서 영감을 얻어 사용할수록 단단해지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힘을 많이 가할수록 전하를 더 많이 생성하는 다공성 압전 소재(힘을 전기로 변환하는 소재)로 바탕재를 만든 뒤 미네랄 성분을 갖는 전해질을 넣어 복합재료를 합성했다. 재료에 주기적인 힘을 가한 후 물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응력(외력에 의해 변형된 물체 안에서 발생하는 힘)의 빈도와 크기에 비례해 재료의 강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마이크로 CT 촬영을 통해 반복적인 응력에 의해 다공성 재료 안에 미네랄이 형성되고, 힘이 가해지면 미네랄이 파괴되면서 에너지를 흩어지게 하는 모습을 확인했다. 다시 응력을 가하면 미네랄이 형성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기존 재료들이 반복적으로 사용할수록

메디칼산업

더보기
셀트리온,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2028년까지 신설
셀트리온이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신설한다. 김태흠 충남지사와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최재구 예산군수, 김병곤 충남개발공사 사장은 27일 예산군청 추사홀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투자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2023년 11월 도와 예산군, 셀트리온이 투자협약(MOU)을 체결한 지 1년 2개월여 만이다. MOA는 비구속적인 MOU와 달리 특정한 조건과 세부적인 사항을 담은 법적 구속력이 담긴 합의서다. 이날 MOA를 체결한 것은 셀트리온의 도내 투자가 구체적으로 확정돼 본격적으로 추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도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셀트리온과 예산군은 셀트리온 신규 공장이 들어설 내포신도시 농생명 융복합산업 클러스터 산업단지 가운데 일부 사업의 공동 시행자로 함께 산업단지 계획을 수립해 올해 안에 승인받기로 했다. 산단 계획 승인이 완료되면, 셀트리온은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새로 짓는다. 도와 예산군은 신속하게 산단 개발과 공장 신설이 이뤄지도록 인허가 등 행정·재정적 지원에 나선다. 충남개발공사는 산단 조성을 위한 토지 매입과 기반 시설 공사를 2027년 상반기까지 마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