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병의 근원' 스트레스, 코로나 면역력도 떨어뜨린다

뇌 시상하부 자극→ 면역 반응 저해 메커니즘 첫 규명
림프절의 백혈구, 혈액ㆍ골수로 '대이동'
미국 마운트 시나이 의대 연구진, 저널 '네이처'에 논문

 보통 스트레스는 정신적ㆍ신체적 자극을 받았을 때 이에 대항해 변화를 일으키려는 정신적 압박을 말한다.

 외부에 '스트레스 요인'이 생기면 긴장, 각성, 흥분, 불안 같은 생리 반응이 나타난다.

 스트레스는 외부 압박을 원상으로 되돌리려는 반작용으로 볼 수 있다.

 스트레스가 건강에 해롭다는 건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심지어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라는 말도 있다.

 만 2년을 넘긴 코로나 팬데믹에도 스트레스는 나쁜 영향을 미쳤을 거로 짐작된다.

 이런 추론이 사실이라는 걸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걸리거나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에서 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면역 반응이 뚜렷이 약해진다는 게 요지다.

 연구팀은 이번에 뇌의 특정 영역이 세포의 면역 반응을 통제하는 메커니즘도 처음 밝혀냈다.

 미국 마운트 시나이 의대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30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Nature)에 논문으로 실렸다.

 이번 연구의 최대 성과는, 스트레스가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면역 반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낸 것이다.

 과학적 실험을 통해 이 메커니즘이 확인된 건 처음이다.

 이 발견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개인별 위증도 차이가 큰 이유를 설명하는 데도 도움이 될 거로 보인다.

 심한 스트레스가 생겼을 때 곧바로 영향을 받는 영역은 '뇌실결핵 시상하부'(paraventricular hypothalamus)였다.

 스트레스는 이 영역의 뉴런(신경세포)을 자극해 백혈구의 대이동을 유도했다.

 림프절의 백혈구가 한꺼번에 혈액과 골수로 옮겨가게 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과 저항력이 약해지고, 감염 합병증과 사망 위험이 커졌다.

 연구팀은 스트레스를 받은 생쥐와 편안한 상태의 생쥐를 모델로 면역 반응을 비교했다.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생쥐는 몇 분 지나지 않아 백혈구의 대규모 이동이 관찰됐다.

 광유전학(optogenetics) 등 첨단 기술로 확인해 보니, 스트레스가 생겼을 때 곧바로 자극을 받는 건 뇌실결핵 시상하부였다.

 편안한 상태에 있던 생쥐는 '스트레스 그룹'보다 바이러스 감염에 더 잘 맞서 싸웠고 바이러스를 더 쉽게 제거했다.

 스트레스를 받은 생쥐는 면역력이 약해져 바이러스 감염증이 더 심해졌고 더 많이 죽기도 했다.

 연구팀은 갖가지 유형의 면역세포가 골수에서 혈액으로 이동할 때 뇌의 운동 기능 영역이 관여한다는 것도 밝혀냈다.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온몸의 백혈구 분포와 백혈구 기능을 제어하는 뇌 영역이 분명히 다르다는 것도 이 실험에서 드러났다.

 물론 연구의 초점은 뇌실결핵 시상하부와 운동 기능 관장 영역에 맞춰졌다.

 스트레스가 백혈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인체의 바이러스 면역력을 떨어뜨린다는 건 향후 면역력 연구에 긴요히 참고될 거로 보인다.

 일례로 백혈구의 혈액 이동이 너무 오래가면 심혈관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어쨌든 스트레스가 인간의 면역계와 바이러스 감염 방어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건 분명하다.

 이 의대 심혈관 연구소 소장이자 논문의 교신저자인 필립 스워스키 박사는 "어떻게 하면 스트레스 회복력이 생기는지, 스트레스가 면역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그런 회복력으로 경감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라면서 "스트레스의 장기적 영향을 더 깊이 이해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