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감염, 왜 다시 급증할까

BA. 5 등 오미크론 하위 변이, 델타 변이 돌연변이 공유
델타 변이의 중화 항체 회피와 연관된 생물물리학적 특징 밝혀져
미국 콜로라도대 연구진, '분자 생물학 저널'에 논문

 한풀 꺾인 듯했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6월부터 다시 급증세로 돌아섰다.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 유형인 BA. 4, BA·5와 델타크론 변이(Deltacron variant)의 확산이 이렇게 급박한 국면 반전을 가져왔다.

 전파력이 가장 강한 오미크론 변이에서 파생한 이들 변이의 공통점은 델타 변이의 돌연변이를 승계했다는 것이다.

 특히 델타크론은 오미크론 변이와 델타 변이에 함께 감염됐을 때 생기는 '재조합 변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5개의 코로나 '우려 변이'(variants of concern)는 모두, 변이 이전의 '원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를 표적으로 개발된 치료 항체와 백신이 잘 듣지 않는다.

 진화생물학적 관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백신이나 치료제를 회피하고 살아남는 쪽으로 진화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차수를 바꿔가며 엄청난 규모로 빠르게 진행된 백신 접종은 신종 코로나의 진화 압박을 가중했을 수 있다.

 특히 델타 변이는 5개의 '우려 변이' 중 가장 위험한 바이러스로 꼽힌다. 다른 변이보다 감염증이 더 심하고 치명률은 가장 높다.

 다시 팬더믹(대유행)을 몰고 오는 오미크론 하위 변이가 델타 변이와 동일한 돌연변이를 가졌다는 건 그래서 더 걱정스럽다.

 이런 상황에서 델타 변이가 그렇게 치명적인 생물물리학적 이유를 미국 콜로라도대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이 발견은 백신을 맞아도 새로운 코로나 변이에 감염되는 이유를 명쾌히 설명한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된다.

 콜로라도대 약학 조제학 대학의 크리슈나 말렐라 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18일(현지 시각) 엘스비어(Elsevier) 출판사가 발행하는 '분자 생물학 저널'에 논문으로 실렸다.

델타 변이의 막강한 막 융합 능력

 말렐라 교수팀은 이번에 신종 코로나의 표면을 덮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RBD(수용체 결합 도메인)에 존재하는 '잔류 돌연변이'(mutated residues)의 효과를 확인했다.

 신종 코로나가 이런 RBD를 통해 세포 표면의 ACE2 수용체와 결합하면, 승인된 백신 등의 항체와 회복 환자에게서 분리한 다클론성 혈장(polyclonal plasma)의 바이러스 중화 능력이 감퇴했다.

 말렐라 교수는 "새로 나타난 신종 코로나 변이에 대해선 백신 효과가 떨어진다는 걸 알고 있기 때문에 어떤 돌연변이가 이런 중화 능력 저하를 가져오는지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라고 지적했다.

 이런 잔류 돌연변이는 모든 신종 코로나 변이에서 자주 발견된다.

 연구팀은 돌연변이를 하나하나 분석해 특정 잔류 돌연변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면역 회피 및 감염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냈다.

 델타 변이는 이전에 나타난 알파, 베타, 감마와 달리 독특한 생물물리학적 특성이 있었다.

 인간의 면역계는 바이러스 감염에 반응해 바이러스를 중화하는, 다시 말해 바이러스의 세포 침입을 차단하는 항체를 생성한다.

 이런 중화 항체는 RBD 상의 항원 결정기 위치에 따라 클래스(class)를 분류한다.

 미국 FDA(식품의약품국)의 긴급 사용 승인이 떨어진 건 이 가운데 일부 클래스의 항체다.

 델타 변이는 ACE2 수용체 결합력이나 클래스 1 중화 항체에 대한 회피 능력을 키우는 대신 클래스 2와 클래스 3 중화 항체를 회피하는 쪽으로 진화했다는 게 이번 연구에서 확인됐다.

 클래스 1 항체는 RBD가 ACE2 수용체에 접근할 수 있는 '상향 구조'(up conformation )일 때만 RBD와 결합한다.

 이와 달리 클래스2와 클래스 3 항체는 RBD 구조와 상관없이 RBD와 결합한다.

 클래스 1보다는 클래스 2나 클래스 3 항체의 중화 능력이 더 뛰어나다는 뜻이다.

 뒤집어 보면 델타 변이의 중화 항체 회피 능력이 상대적으로 더 강하다는 의미도 된다.

 델타 변이는 또 단백질 발현 수위가 다른 변이보다 높았다.

 일례로 델타 변이의 T478K 돌연변이는 앞서 다른 코로나 변이에 감염된 환자에게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 돌연변이는 자연 감염으로 생긴 신종 코로나 항체를 회피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국 새로 출현하는 코로나 변이의 '적합도 지형'(fitness landscape)을 결정하는 주요 생물물리학적 기준은, 중화 항체로부터의 면역 회피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